양극성 장애 (조울증) [bipolar disorder]
원인
1) 생물학적 요인
①유전적 소인 ②신경전달물질: 노르에피네프린, 도파민, 세로토닌
2) 심리사회적요인
①정신역동: 조증 증상은 우울에 대한 방어 ②잘못된 믿음, 높은 성취 목표 ➂환경
증상
1) 조증삽화: 1주 이상, 입원이 필요할 만큼 심하거나 정신병적 증상이 있음
- 자존감 증가 혹은 과대감, 수면욕구 감소, 평소보다 말이 많거나 말을 계속하고 싶은 욕구, 사고의 비약, 주의산만, 목적지향적 활동의 증가, 고통스러운 결과 초래 가능성 있는 활동에 지나치게 몰두 등
2) 경조증삽화: 4일 이상, 사회적·직업적인 장애를 초래하나, 입원이 필요할 만큼 심하지 않은 다소 경한 상태
종류
1) 제1형 양극성 장애: 조증 또는 조증+우울증
2) 제2형 양극성 장애: 경조증 + 우울증
3) 순환성장애: 최소 2년 이상 경조증 + 경우울증
치료 및 간호
1) 치료적 환경 제공: 급성조증 단계에서는 입원치료 도모
2) 신체적인 건강과 안전: 음식과 수분섭취 모니터링, 손에 들고 먹을 수 있는 고단백, 고열량의 영양가 있는 음식(샌드위치, 김밥), 비타민과 미네랄 보충 음식 등 충분히 제공
3) 약물치료: 양극성 장애-리튬, 항경련제, 심한 조증삽화-기분안정제와 2세대 항정신병약물
4) 감정표현하기: 느낌에 초점을 맞춰 천천히 말하게 하고 생각이 한 방향으로 흐르도록 함
5) 인지치료: 현실적인 자가인식에 대해 이야기하고 현실적인 목표를 갖도록 도움
6) 대상자와 가족 교육: 양극성의 높은 재발 가능성과 만성적인 경과에 대한 정보 제공
참고자료
· 자기 평가 시행하기, BAI, 서울청년클리닉, http://www.youthclinic.org/sub6_2.php
· 정신간호총론(수문사), 김성재, 긴선아, 임숙빈 외, 284~297
· 비판적 사고를 적용한 간호과정(수문사), 정향미, 성미혜 박은영 등, 325~439
· 서울아산병원, 의약품정보, 탄산리튬 정 [300mg]
·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ruginfo/drugInfoDetail.do?odcd=LITH300&searchKeyword
· 서울아산병원, 의약품정보, 쎄로켈 정 [25mg]
·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ruginfo/drugInfoDetail.do?odcd=SERQ25&searchKeyword
· 서울아산병원, 의약품정보, 리보트릴 정 [0.5mg]
·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ruginfo/drugInfoDetail.do?odcd=RIVO.5&searchKeyword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