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급성 췌장염은 임상적으로 경증에서 중증까지 다양하다. 대부분 경증으로 3-5일 내에 호전되지만 중증의 경우에는 가성낭종, 췌장 궤사, 농양 형성 등의 국소 합병증뿐만 아 니라 전신염증반응으로 다발성 장기부전 및 사망에 이를 수 있다. 중증 췌장염의 사망률은 매우 높아 무균 괴사성 췌장염은 10%, 감염성 췌장염은 25-30%에 이른다.1 조기 에 급성 췌장염을 정확하게 진단하고 초기에 중증 경과를 보일 것으로 예측되는 환자를 선별하여 집중 치료하는 것 은 국민보건 향상에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미국, 영국, 유럽, 일본에는 가이드라인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지만, 국 내에 적합한 급성 췌장염의 진단과 치료에 관한 가이드라 인 없는 실정이다. 이러한 정보와 실제의 임상배경을 바탕으로 질병을 공부하고 간호에 대해서 알기 위해 급성 췌장염을 질병으로 잡고 관찰을 시작하였다.
2. 연구기간 및 방법
2019년 8월 26일부터 광주 전남대학교병원 8동 9층 소화기계 내과 병동에 acute pancreatitis 질병으로 입원했던 정OO님을 대상으로 직접 환자를 관찰, 면담하고 EMR, kardex, 환자정보, 임상검사 결과 등을 통해 대상자의 자료를 수집하고 연구하였다.
Ⅱ. 문헌고찰
1. 질병의 정의
∎ 십이지장으로 배설되지 못한 췌장효소가 췌장 안에서 활성화되어 췌장세포의 자가소화를 유발
∎ 급성 염증상태
∎ 잠재적으로 췌장의 부종, 괴사, 출혈 등을 일으키는 치명적인 염증 과정
∎ 증상은 원인 요인들이 제거되면 사라지는 것이 특징
2. 원인 및 위험소인
▶원인
1) 알코올
∎ 알코올이 췌장염에 미치는 정확한 기적은 알려져 있지 않음
∎ 알코올은 췌장의 분비를 자극하고, Oddi 괄약간의 경련을 유발
∎ 췌장에서 분비되는 단백질의 구성을 변화
∎ 작은 관들을 막아 췌액이 분비되는 것을 방해
∎ 샘꽈리 세포의 세포막을 약하게 하여 세포가 쉽게 손상
∎ 트립신 억제제의 양 감소
∎ 췌장의 지방대사와 전신의 지방대사를 방해하여 고지혈증 약화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