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트리밍 기반 인터넷 플랫폼의 이용자 확보 전략과 콘텐츠 경쟁력 강화 방안에 대하여"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요약문
2. 서론
3. 본론
1) 국내 음반 시장과 음악 스트리밍 플랫폼 시장 현황
2) 멜론 이용자 현황
3) 멜론 서비스 현황
4) 멜론 마케팅 현황
4. 결론
5. 참고문헌
본문내용
요약문
음악 스트리밍 시장이 확대되면서 한국에도 다양한 음악 스트리밍 플랫폼이 생겨났고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의 스트리밍 플랫폼 또한 한국에서 경쟁력을 갖추고, 국내 플랫폼을 위협하고 있다. 국내 음악 서비스 이용자를 분석한 결과, 10-20대의 걸그룹 팬덤이 증가하였고, 중장년층의 트로트 가수의 팬덤 또한 증가하였다. 구매력이 높고 아티스트에 대한 충성도가 높다는 점을 참고해 청소년과 20대 이용자, 그리고 50대 이상의 이용자들에게 초점을 잡았다. 카카오 엔터테인먼트의 멜론은 현재 멜론차트, 뮤직 웨이브, 멜론 DJ, MMA, 멜론TV 등의 서비스를 유지하고 있으며, 음악방송 PPL과 통신사 제휴 할인, 아티스트 굿즈 이벤트, 장기 유지 회원을 위한 멜론 라운지, 팬 참여 옥외 광고 등의 마케팅을 진행해 이용자의 장기 유지, 아티스트와 팬의 유대감을 형성하는 방향으로 가고 있다. 강점인 아티스트와의 높은 친밀도, 인지도 높은 계열사, 다양한 회원 제도의 혜택 등을 활용해 이용자를 확보하고 콘텐츠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방안으로 신규 유입을 위한 청취 기반의 광고를 통한 무료 스트리밍 기회 제공, 같은 카카오엔터테인먼트 계열의 대형 유튜브 채널을 이용한 홍보, 멜론 티켓 플랫폼을 이용한 트로트 가수의 공연 티켓을 유통해 중장년층에게 멜론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제안한다.
참고자료
· 조용준, “음원, '소유'보다 '임대'하는 시대...스트리밍 매출 지난해 8,415억 원 최대”, 뉴스핌, 2022.10.30 https://www.newspim.com/news/view/20221028000862
· 김지현, “유튜브뮤직 빈틈 공략…수천 명 팬 몰리는 멜론 뮤직웨이브”, 한국일보, 2024.04.10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A2024040710480001958?did=NA
· 오보람, “멜론 개편 반년…차트 교란 줄었지만 '콘크리트' 현상도(종합)”, 연합뉴스, 2021.01.22 https://m.entertain.naver.com/article/001/0012156461
· 김현정, “임영웅 콘서트예매전쟁 '대기순번만 44만번째' 인터파크티켓 홈페이지 서버' 불안불안”, 국제뉴스, 2024.04.10 https://www.gukje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2965908
· 한국콘텐츠진흥원, 『2023 음악산업백서』, 2023
· 한국콘텐츠진흥원, 『2023 음악 이용자 실태조사』, 2023
· 하이투자증권, 『‘메이저’로 가는 길』, 2023
· 이승찬, 손창원, 지성욱 『유튜브와 국내 음악 플랫폼의 경쟁 및 보완관계 연구』, 2023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