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문헌 고찰
폐렴(pneumonia)
- 폐실질 조직의 급성 염증이 발생한 것, 원발성 혹은 다른 질환의 합병증
- 영아나 유아초기에 자주 발생
발생 부위
1) 대엽성 폐렴: 한 엽의 전부 또는 일부 포함
2) 기관지 폐렴, 소엽성 폐렴: 말초 기관지, 그 주위에 있는 소엽이 포함
3) 간질성 폐렴: 폐포벽, 기관지 주위, 소엽간의 조직이 포함
원인 요소
1. 바이러스성 폐렴 (viral pneumonia)
- 아동의 모든 연령층에서 세균성 폐렴보다 더 자주 발생
1) 임상증상
- 갑작스럽거나 점진적
- 미열, 가벼운 기침을 동반한 권태감
- 고열, 심한 기침, 허탈
- 초기에는 분비물이 없거나 소량의 객담 포함한 기침
- 청진시 천명(wheeze)이나 악설음(crackles)
- 흉부 X-선 사진에서 기관지 주위를 따라 범위가 퍼져 있거나 반점상의 침윤
2) 치료와 간호
- 이차적인 세균 감염의 감수성이 커지나 예후는 좋음
- 안정, 찬 습기와 함께 산소 공급, 폐물리요법, 체위 배액, 수액 요법
- 2차적 세균 감염시 항생제 투여
참고자료
· 아동건강간호학Ⅱ, 김효신 남은숙 안혜영..., 수문사. 2020년.402~407P
· 비판적 사고와 간호과정 (제2판), 이은희 외 공저, 고문사, 2022년, 부록8 55P
· 비판적 사고와 간호과정 (제2판), 이은희 외 공저, 고문사, 2022년, 부록8 95P
· 아동청소년 간호학Ⅱ. 김희순, 오진아, 유미애, 유하나, 최지혜 외 편저. 수문사.2019,19-21p
· 드러그 인포
· https://www.druginfo.co.kr/index.aspx
· 이미지 출처
· https://blog.naver.com/yimin3181/50174643198
· https://blog.naver.com/swhyang1/220533502840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