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목차
1. 제1장 서론
2. 제2장 1인가구의 증가와 그 영향 : 현황, 원인, 과제
2-1. 1인 가구의 현황 및 특성
2-2. 1인 가구의 주거 환경 및 생활 실태
2-3. 1인 가구가 직면하는 주요 문제점 및 어려움
3. 제3장 해외 1인가구 정책현황
3-1. 주거 지원
3-2. 돌봄 및 안전 지원
4. 제4장 개선방안
4-1 맞춤형 정책 마련
4-2. 주거 안정성 및 주거비 부담 완화
4-3. 고용 및 소득 증대 지원
4-4. 1인 가구 문화 활성화 및 사회적 인식 개선
4-5. 정책 수립 및 집행의 효율성 제고
5. 제5장 결론
6. 참고문헌
본문내용
1인 가구란 혼자 살아가는 개인으로 구성된 가구를 의미한다. 최근 우리나라에서 1인 가구는 빠르게 증가하여 가장 주된 가구 형태가 되었다.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1980년 전체 가구의 4.8%에 불과했던 1인 가구가 2022년에는 31.7%까지 증가하였다. 이는 젊은 층의 결혼관 변화, 여성의 경제적 독립 증가 등과 관련된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대한민국 전체가구 중 1인가구는 716만 6천여가구로 전체가구의 33.4%에 해당된다(통계청, 2022), 통계청의 인구주택총조사에 따르면, 1970년 1인가구 비중은 전체 가구의 3.7%에 불과했으나 1980년 4.8%, 1990년 9.0%, 2000년 15.5%, 2010년 23.9%, 2020년 31.7%로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증가세는 지속되어 2030년 35.6%, 2050년 39.6%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1인가구 증가 현상은 가부장적 질서에 대한 여성들의 의식 변화와 경제활동 증가, 젊은 세대의 결혼관 변화에 따른 비혼과 만혼의 증가, 이혼과 별거 등으로 인한 독신자 증가, 평균수명연장에 따른 배우자 사망 이후 독거 기간 증가 등 다양한 사회경제적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최근 우리 사회에서 1인 가구는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다. 이는 결혼관 및 가치관 변화, 여성의 경제활동 증가, 고령화 등 다양한 사회 변화에 기인한 것으로, 주거, 경제, 복지 등 여러 분야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1인 가구는 연령, 성별, 소득 수준에 따라 매우 이질적인 특성을 보이며, 각기 다른 어려움에 직면해 있다. 청년층은 주거 불안정과 취업난, 노년층은 경제적 열악함과 건강 문제, 중장년층은 이혼으로 인한 정신적 스트레스 등 다양한 문제에 시달리고 있다.
이와 함께 통계청 「장래인구추계(2020~2070)」에 따르면 생산가능인구(15~64세) 100명에 대한 고령인구(65세 이상) 의 비를 의미하는 노년부양비는 ‘90년 7.4, ’00년 10.1, 2010년 14.8, 2020년 21.8로 그 증가속도는 이미 빨라지기 시작했으며, 향후 2030년 38.6, 2040년 60.5, 2050년 78.6에 이를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사회적 대책 마련 필요하다. 이처럼 1인 가구 문제는 더 이상 개인적 차원의 문제가 아니라 심각한 사회 문제로 대두되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정책적 대응이 시급히 요구된다.
참고 자료
광주여성가족재단(2020), 광주광역시 1인가구 지원에 관한 기본계획수립 연구
국회미래연구원(2023), 1인가구 유형분석과 행복 제고를 위한 시사점. 국가미래전략
Insight | 74호
김보람(2016), 『부산광역시 1인가구 현황 및 대응』, 부산복지개발원.
김영란 외. (2013). 지역 연대 에 기초 한 노인 1 인 가구 돌봄 지원 방안: 노인 돌봄 공동체 사례 를 중심 으로. 한국여성정책연구원.
김윤영. (2017). 1인가구를 위한 정책방향 연구. 인천발전연구원.
민보경(2023), 1인가구의 사회적 관계, 신뢰와 행복, 한국인구학 제46권 제4호(2023년)
민주연구원(2023), 외로움 · 1인가구 맞춤 행복정책시리즈 종합보고서
서울 서대문구(2023), 서대문구 1인가구 실태조사 및 정책개발 연구용역
여성가족부(2018), 인구특성별 1인가구 현황 및 정책대응 연구
진인화, 전희정(2024), 1인가구의 스트레스에 미치는 지역환경 요인-청년 1인가구와 노년 1인가구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지역학회지 『지역연구』 제40권 제1호
통계청(2022) 2022 통계로 보는 1인가구, 통계청.
통계청(2011) 장래인구추계(2020~2070), 보도자료, 통계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