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미리보기
소개
"담낭절제술"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anatomy
2. 적응증
3. 증상
4. 수술적 치료방법
5. Procedure
본문내용
1. anatomy
담낭(Gallbladder)
담낭은 간에서 분비된 담즙을 저장하며 수분을 흡수하여 1/12까지 담즙을 농축시키는 작용을 하는 장기이다. 담낭은 통통한 가지 모양을 띠고 상면은 간 하면에 밀착되어 있으나 하면은 복막으로 덮여져 매끈하다. 앞쪽의 둥근 맹단부를 담낭저(fundus), 담낭관에 이어지는 좁은 곳을 담낭경(neck), 중간을 담낭체(body)라 한다. 크기는 길이 7~10cm, 용적은 30~35cc 가량이다. 담낭관(cystic duct)길이는 약 4cm되는 좁은 관으로서 후하방으로 달려 총담관(common bile duct)과 연결되어 총담관을 형성한다. 담낭의 구조는 장막(바깥막), 섬유근육층(fibromuscular layer) 및 점막 등 세층으로 구성된다.
・ 장막(바깥막) : 복막에서 연속되어 담낭을 싸고 있는 가장 바깥층으로서 담낭바닥을 장 막이 전체를 싸고 있으며 몸통과 목은 아랫면만을 싸고있다.
・ 섬유근육층 : 이 층은 얇지만 느슨히 결합된 가장 안쪽의 층이다.
・ 점막 : 섬유근육층과는 느슨히 결합된 가장 안쪽의 층이다.
혈액순환은 Rt. hepatic artery의 분지인 cystic artery, cystic vein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으며, 신경분포로는 Celiac plexus, 미주신경, Rt. phrenic nerve 등이 분포되어 있습니다.
총담관(common bile duct)
총간관(hepatic duct)의 담낭관이 합하여 이루어지는 길이 약 7.5mm, 지름, 4~5cm 되는 비교 적 굵은 관이다. 소망의 우연을 따라 십이지장과 췌두 사이를 하행하여 십이지장 유두에 개구한다.
2. 적응증
급성 담낭염, 만성 담낭염 등을 포함한 담낭의 모든 양성 질환이 적응증이 됩니다. 초창기에는 문맥압 항진증과 혈액 응고 장애 등이 출혈 때문에 금기사항이었으나 지혈장비의 발달로 우선은 복강경 수술을 시도하고 문제점이 발생하는 경우 개복술로의 전환을 고려하는 추세입니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