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혼모의 개념과 발생원인
- 최초 등록일
- 2024.10.04
- 최종 저작일
- 2024.10
- 10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미혼모의 개념
2. 미혼모의 발생원인
3. 미혼모 현황
4. 미혼모의 문제점
5. 미혼모 보호사업의 현황
1) 시설 입소
2) 주거 지원
3) 임신·출산·진료비 지원(국민행복카드)
4) 첫만남이용권(국민행복카드)
5) 저소득 한부모가족 아동양육비 등 지원
6. 미혼모의 문제점에 따른 대책
1) 욕구에 부합하는 맞춤형 지원서비스 제공
2) 사회적 인식 전환 및 미혼모지원제도의 개별프로그램 홍보 강화
3) 미혼모의 건강지원 및 정신건강프로그램
4) 양성이 평등한 사회를 위한 교육 확산 및 실천
7. 나의 의견
Ⅲ. 결론
IV.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한국에서 미혼모 수의 규모는 2017년 22,065명에서 2021년 20,761명으로 20,345명, 약 8.5% 감소한 것을 알 수 있다. 이 5년간 미혼모의 수는 2017년에서 2018년에는 3.8%, 2018년에서 2019년에는 2.4%, 2019년에서 2020년에는 2.4%, 2020년에서 2021년에는 1.1%로 매년 양육 미혼모의 수는 서서히 감소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통계청, 2023). 양육 미혼모의 수가 점차 줄어드는 것에는 출산율 감소 외에도 여러 원인이 있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상치 못한 임신과 출산에 따른 원가족의 실망과 분노, 결혼 전 임신이 자칫 비난이 되어 그가 속한 사회로부터 외면당하게 될지도 모른다는 불안감, 출산 후 양육에 따른 과도한 심적, 물적 책임감 등으로 임신을 중단하는 이유를 예상할 수 있다. 실제로 결혼 전 출산을 선택한 순간부터 미혼모라는 사회의 구성원이 됨에도, 이들에 대한 현황은 정확하지 않다. 이는 임신과 출산을 숨기는 등 다양한 이유로 그 수를 정확하게 파악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국가에서 진행된 인구주택총조사 등과 같은 자료에도 임신 및 출산, 입양 등을 결정한 미혼모에 대한 통계는 없고, 양육 미혼모만 대상으로 파악된 실정이다. 따라서 본론에서는 미혼모의 개념과 발생원인, 현황과 문제, 미혼모 보호사업의 현황과 대책 을 제시해 보겠다.
Ⅱ. 본론
1. 미혼모의 개념
미혼모’라는 용어의 시작은 1970년대 들어서면서 이전 시대에 혼혈 아동을 출산한 여성들을 호명하던 ‘unwed mother’가 미혼모라는 용어로 대체된 것이다. 그 의미는 혼인 외 관계에서 출산한 모든 여성을 광범위하게 범주화하는 것으로 변하였다. 미혼모라는 용어와 관련하여 여성학계에서는 미혼모 대신 비혼모 또는 ‘언웨드(unwed)’라는 용어 사용이 확산되는 추세로 미혼모는 지금은 결혼하지 않았지만 이후..
<중 략>
참고 자료
강라현(2021). 미혼모의 출산과 양육의 의미와 본질 구조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사회복지연구.
김지혜·조성희(2020). 미혼모의 자립의지가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사회자본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박화옥(2022). 영유아 양육미혼모의 사회적 지지가 자립의지에 미치는 영향:양육효능감과 양육스트레스의 다중매개효과. 미래사회복지연구.
성정현(2017). 미혼모 호칭에 관한 문제제기와 제언.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세미나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