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 고찰
4.1 공업적으로 사용되는 용융중축합법에 대하여 알아본다.
4.2 계면 중합방법에서 사용되는 유기용매의 종류에 따른 중합도의 차이와
제조되는 수지의 형태에 대하여 알아본다.
본문내용
1. 실험 원리
1.1 Polyamide
• Polyamide 수지의 제조
(A) 용융중축합법 : Nylon salt를 합성하는 방법
나일론 염의 중축합은 반응물을 동일한 mol수로 반응하기 위한 방법으로써, 일반적으로 diamine과 dibasic acid를 반응시켜 얻은 diammonium salt의 수용액 (물 20~40%)을 질소기류하에서 가압, 가열하여 물을 서서히 제거하면 수평균 중합도가 약 100정도의 polyamide가 얻어진다.
(B) 저온중축합법 : 계면중축합, 용액중축합
저온중축합법은 물과 유기용매층의 계면에서 반응이 일어나므로, diamine과 diacid chloride를 반드시 동일한 mole수로 할 필요가 없다. 하지만 반응조건이 다소 달라질 수 있으므로 얻어지는 시료의 분자량은 서로 다를 것이다.
(a) 계면중축합 (비교반 중축합) : diacid와 diamine의 반응의 경우, 단량체 간의 반응성이 대단히 높기 때문에 상온에서도 고분자가 생성될 수 있다. 저온에서 diamine과 acid aceptor를 포함하는 수용액 층과 diacid chloride를 포함하는 물에 용해되지 않는 유기용매층을 접촉시켜 축합반응을 진행시킨다. 물층에 존재하는 diamine이 유기용매층으로 확산하여 diacid chloride와 반응을 일으켜 두 용액층의 계면에 필름상의 고분자가 형성된다. 따라서 diamine의 확산속도 또는 유기용매 중에서의 diamine의 분배율이 고분자량의 고분자를 생성하기 위한 필요조건이 된다.
참고자료
· Hexamethylenediamine, sebacoyl chloride IR : http://sdbs.db.aist.go.jp
· nylon-6,10 : http://www.polymerprocessing.com/polymers/PA610.html
· nylon 6,10 IR, TGA, DSC : Google
· 용융중축합법 : 정평진, 『고분자합성 화학실험』, 범한서적, 2010, p167
· 계면 중합방법에서 사용되는 유기용매의 종류에 따른 중합도의 차이와 제조되는 수지의 형태 : 정평진, 『고분자합성 화학실험』, 범한서적, 2010, p176~177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