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영화소설 <아리랑>의 출간본(세로쓰기)과 ‘가로쓰기’본의 차이를 3가지 지적하고, 그것을 분석해 보시오.
(2) <청춘의 십자로> 무성영화 타이틀
본문내용
‘아리랑’은 우리 민족을 대표하는 노래로서 자리해 왔다. 무성영화 <아리랑> 나운규, <아리랑>, 1926.
역시 ‘아리랑’을 주제가로 쓰고 있고, 구전되던 아리랑을 개조해서 사용되었다고 한다. 이 영화를 위해서 작곡한 노래 '아리랑' 삽입은 출간본과 가로쓰기 본에서 차이를 두고 있다. 세로쓰기 본의 참조 1을 보면 알 수 있듯이 단성사 악대가 아리랑을 편곡해서 바이올린으로 연주해 부른 것으로 보인다
주제가 〈아리랑〉은 영화 《아리랑》의 테마음악이면서 삽입곡이다. 주제가는 단순히 영화의 시작과 끝에 쓰인 시그널 뮤직 정도가 아니라 서사 전개 과정과 밀접하게 연계되어 관객의 집중력을 높였으며, 영화에 삽입되기 이전부터 전국에서 유행을 하기도 했다.
참고자료
· 나운규, 영화소설 <아리랑>, 1편, 박문서관, 문일 편.
· 나운규, 영화소설 ‘현대비극’ <아리랑>, 1929.
· 임승범, 「1920년대 식민지 조선의 자화상, 영화 <아리랑>-6·10만세 운동 정국政局 속에서 영화 <아리랑>의 확산을 중심으로-」, 한민족문화학회, 2021.
· 임원식, <아리랑>, 아리랑아카이브, https://arirang.iha.go.kr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