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문서는 한글표준문서(*.hwpx)로 작성되었습니다.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미리보기
소개
"통합실습 간호전문직 표준을 적용한 디자인 씽킹 기반 교육안 _ 고위험/고주의 약물 교육"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Ⅰ. 서론 ··········································································································· 1
1. 주제 선정 배경
2. 문헌고찰
Ⅱ 본론 ············································································································ 7
1. 학습목표
2, 수행 계획
3, 평가 계획
4. 항응고제(고위험약물) 보건교육 계획안
III. 결론 ··········································································································· 7
IV. 참고문헌 ·····································································································7
본문내용
1. 주제 선정이유
인구 고령화, 식습관의 서구화, 수술이나 암환자 증가 등으로 인해 혈전, 색전증 발생의 위험에 노출되기 쉽다. 심뇌혈관질환은 전세계 사망원인 1위이며, 우리나라에서도 암에 이어 사망원인 2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질병관리본부, 2018) 특히 심부정맥 혈전증은 일반인에서 1000명 중 1명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인하대병원 인천권역심뇌혈관질환센터,2017). 이에 따라 혈정 예방과 치료를 위한 항응고제를 복용하는 환자의 증가는 불가피한 사안이다.
ㅇㅇ병원 ㅇㅇ병동은 내과계 병동으로 입원 시, 시술 전 스텐트 삽입 여부, 심장 관련 기저질환 및 항응고제 복용 여부를 면밀히 사정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항응고제 복약 안내문이 병동 내에 비치되어 있으나 항응고제 복용 대상자에 대한 직접적인 교육 및 재교육은 관찰하지 못하였기 때문에 올바른 항응고제 복용 확인 및 합병증 예방을 위해 대상자 5명을 선발하여 항응고제의 위험성 및 주의사항과 일상생활에서 올바른 복약 습관을 교육하고자 한다.
2. 문헌고찰
• 고위험 약물로 분류(처방, 조제, 투여 오류가 환자에게 잠재적 위험 가능성 높은 약물 중 병원이 관리대상으로 지정한 약물을 말한다.)된다. 특히 와파린은 과용량 투여 및 적절한 환자 복약 교육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과다 출혈, 피부 괴사 등 심각한 위험을 초래할 수 있어 처방 확인 및 투여 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 와파린(Wafarin) - Coumarine계의 대표적인 경구용 항응고제로, 비타민 K의 활성형으로의 전환을 억제하여(Vitamin K antagonist) 항응고 작용을 한다. 와파린은 반감기가 36시간 정도로 길기 때문에 1일 1회 투여하는 약물이다. NSAIDS계 약물 병용 시 출혈의 위험이 높아 가능한 대체 약물을 복용할 필요가 있다. 복용 후 24시간 만에 혈전생성능력을 감소시키기 시작하고 3-5일 후 충분한 효과가 나타난다.
- 적응증: 심부정맥 혈전증, 폐동맥 색전증의 예방 및 치료, 판막질환, 뇌졸중 병력, 심방세동 시 색전증 예방, 인공판막, 혈관 시술 및 수술 후 폐색 예방, 심근경색증 후 전신적 색전증 예방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