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간호 케이스 사회적 고립에 대한 케이스
꼼꼼한 간호과정으로 높은 점수를 받았던 과제입니다.
진단적/치료적/교육적 계획-수행-합리적 근거로 꼼꼼하게 케이스가 정리 되어 있습니다.
1. 망상적 사고와 관련된 사회적 고립
목차
없음
본문내용
• 주, 객관적 자료
(objective data, subjective data, sign, symptom)
Subject data
“(허공을 보며) 제가 외로울 때마다 와서 저에게 말을 건내주는 친구가 있어요.”
“이상한 생각하고 이상하게 행동한다고 다들 절 많이 무시해요.”
“혼자가 될까봐 불안해요”
“내 얘기를 들어주는 건 그 친구밖에 없어요.(망상친구)”
“밤새 혼잣말하고 방안에만 틀어 박혀있어요” 라고 보호자가 말함.
Object data
1. 허공을 바라보며 대화를 시도하는 모습이 관찰됨.
2. 입술을 뜯으며 불안해 보이는 모습이 관찰됨.
3. 눈을 마주치며 대화하지 않음.
• 간호진단 (nursing Dx. due to / related to)
망상적 사고와 관련된 사회적 고립
• 간호목표(goals-objectives, expected outcomes)
단기목표
대상자는 5일 이내에 불안을 표현하지 않고 스스로 자기표현하는 말을 할 수 있다.
대상자는 5일 이내에 스스로 활동치료에 참여하려고 한다.
장기목표
대상자는 퇴원 시까지 망상이 사라지고 외부활동에 관심을 가질 수 있다.
• 간호계획 (nursing plan)
[진단적 계획]
1. 대상자의 사회적 활동을 사정한다.
2. 대상자의 망상 빈도와 정도를 사정한다.
3. 활동치료에 참여하려는 의지를 사정한다.
4. 대상자의 질환에 대한 가족의 이해도를 사정한다.
• 간호수행(nursing implement)
[진단적 수행]
1. 대상자의 사회적 활동을 사정함.
1,2일차
처음 문진한 간호사 외에 다른 사람과 대화를 잘 하지 않으려함.
3.4일차
다른 사람이 물어본 것에 대답은 하며, 다른 입원대상자들에게 관심을 가지는 듯함.
5일차
또래 대상자가 건내는 말에 대답하고 질문을 던지는 모습이 관찰됨.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