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단을 시작하기 전 치료자인 코리 부부는 만남의 시간을 20시간으로 설정하여 마라톤 집단으로 형성하였다. 마라톤 집단은 오랜 만남이 계속되면서 쉽게 피로감을 느끼며 사회적 가면을 벗을 수 있게 되어 강렬한 정서적 경험이 가능하고, 집단발달이 가속된다는 장점이 있다. 집단상담의 발달단계는 초기 단계, 과도기 단계, 작업 단계, 종결 단계로 구성되는데, 각 단계별 인물의 주 호소 내용을 수업 시간에 학습한 치료적 요인을 중심으로 서술하고, 마지막으로 이 집단의 사례를 통해 느낀 집단상담의 효과성과 개인적인 느낌을 서술해보고자 한다.
1. 초기 단계
제임스(James)는 집단에서 유대감이 느껴지지 않아 이 집단의 일원이 아닌 이방인이라고 느끼고, 이는 집단 밖에서도 겪는 익숙한 느낌이라고 표현했다. 재클린(Jackline)은 자신이 사전모임에서 두서없이 말한 것이 바보처럼 느껴졌다고 한다. 치료자가 어떤 점을 두서없다고 생각했는지 물어보았지만 이에는 대답하지 않았는데, 집단이 초기 단계이고 신뢰가 부족해 이야기를 꺼린 것으로 보인다. 치료자는 주의를 기울이다 다시 같은 감정이 느껴지면 경험을 공유하길 바란다고 피드백했고, 집단 지도자로서 개인에게 행동 목표를 제공한다고 생각되었다. 이들은 집단이 아닌 일상적 삶에서도 비슷한 감정을 느낀 것으로 보인다. 자신의 평소 부적응적 대인관계 행동을 집단에서도 보이며, 집단의 축소된 사회의 역할을 확인하였다.
이후 2인 1조로 구성하여 지금-여기서 느끼는 감정들을 자유롭게 5분 동안 대화를 하며 집단원 간 효율적으로 탐색하고 초기 신뢰 형성을 수립한다. 소그룹을 형성하여 소통하는 것은 집단원들이 적은 인원과의 대화로 덜 위협적으로 느끼고, 지금-여기 즉각적 문제를 편안한 곳에서 다룰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