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찰법을 통해 영유아에게 신체, 언어, 인지, 정서, 사회성 영역에서 평가해야 할 행동은
- 최초 등록일
- 2024.09.02
- 최종 저작일
- 2024.07
- 4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소개글
영유아교수방법론
주제: (Ⅰ, Ⅱ 중 택1)
-과제Ⅰ : 바람직한 발문의 예를 유형에 따라 한가지 씩 제시하고 상황에 따른 발문을 영아기와 유아기에 따라 정리하시오
-과제Ⅱ : 관찰법을 통해 영유아에게 신체, 언어, 인지, 정서, 사회성 영역에서 평가해야 할 행동은 어떤 것들이 있을지 본인의 생각을 정리하시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신체 영역
2. 언어 영역
3. 인지 영역
4. 사회·정서 영역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관찰’이라는 것은 특정한 사물 및 현상 등을 주의 깊게 살펴보는 일이다. 이는 일상생활에서 자연스럽게 발생되는데, 같은 맥락에서 본 교육에서의 관찰은 “학생(아동)의 행동이나 그의 이면에 관한 이해, 중요한 학습 순간, 발달 상황, 사고나 감정 등에 대한 정보와 관련 단서에 대한 이해이다.”라고 정의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미루어 보았을 때 관찰법은 학생(아동)의 행동 양식과 패턴을 이해 및 파악하는 것에서의 가장 기본적인 방법이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그래서 이는 실제 교육 현장에서 많이 활용된다.
이러한 관찰법의 장점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우선 첫째, 특별한 교육이나 훈련이 없어도 관찰에 임할 수 있다. 둘째, 다른 측정방법과 동시에 활용이 가능하다. 셋째, 여러 형태의 교육프로그램에서 사용이 가능하다. 넷째, 집단적 및 개별적인 관찰이 가능하며, 모든 발달 영역에 대한 적용도 가능하다. 다섯째, 교사가 자신의 일을 함과 동시에 관찰을 진행할 수 있다. 여섯째, 시간에 대한 구애를 받지 않는다는 것이 장점이다.
반면 단점도 존재한다. 첫째, 관찰의 타당도가 관찰자(교사)가 지닌 기술에 달려 있다. 둘째, 관찰자의 편견이 개입될 수 있다. 셋째, 특정한 영역이 또 다른 영역보다 쉽게 관찰될 수 있으므로 관찰 내용의 정확성이 다소 떨어질 수 있다. 넷째, 교사가 자신 일을 하면서 학생을 관찰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전체의 맥락을 파악하기가 어렵다는 것이 단점이다.
특히 교육 현장에서 보육교사의 관찰은 중요하다. 왜냐하면 그들은 각종 상호작용을 통해 영유아의 개별 차이를 이해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그렇게 때문에 교사는 영유아들이 또래들과의 긍정적인 관계 형성을 기반으로 하여 바람직한 사회성을 기르는 것에 기반이 되는 각종 경험도 함께 제공해 줄 수 있어야 하는 것이다.
참고 자료
김진규, 아동연구방법, 동문사, 2019.
최영희, 아동관찰 및 행동연구, 공동체, 2020.
이정환 외, 영유아 교육의 교수학습방법, 파란마음,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