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목차
I. 서론
1. 템플스테이 개념과 역사
1) 템플스테이 개념
2) 템플스테이 역사
2.템플스테이 목적
1)종교적 목적
2)사회적 목적
3) 소결론
II. 본론
1. 템플스테이 효과
1) 참선(명상)을 통한 템플스테이
2) 다도와 차담을 통한 템플스테이
2. 템플스테이 현황과 특성
1) 템플스테이 특성
2) 템플스테이 대상 선정
3) 템플스테이 현황조사 방법
3.템플스테이 가치
1) 사회적 가치
2) 경제적 가치
III. 결론
1. 연구 결과
2. 제언
1) 사찰의 특수성
2) 명상과 다도의 효과 증진 교육
IV. 참고문헌
본문내용
1. 템플스테이 개념과 역사
1) 템플스테이 개념
템플스테이는 산사에서 수행자들의 생활을 체험하는 프로그램이다. 비록 불교에 귀의해 수행을 하는 사람은 아니지만 짧은 기간이나마 산사에서의 생활을 체험할 수 있다. 템플스테이는 다양한 기간 동안, 다양한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템플스테이 관련 정보를 종합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통합 홈페이지 ‘템플스테이’에서는 ‘1천 7백 년에 이르는 한국 불교문화의 역사와 문화가 숨쉬는 산사에서 수행자의 일상을 체험하는 전통문화 체험 프로그램’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또한 템플스테이는 ‘전통 사찰이 기획한 법회, 참선, 다례 등의 프로그램이나 예불, 발우공양 등 계획되지 않은 일상적 사찰 활동에 참여하기 위해 장/단기적으로 사찰에 머무는 것’이라고도 정의할 수 있다.
2) 템플스테이 역사
템플스테이에 대한 관심은 비단 불교신자가 아닌 일반 시민에게도 확산되어 있다. 실로 대중적 관심이라고 할 수 있다. 또 우리나라 사람뿐 아니라 외국인들, 그중에서도 특히 동양의 문화와 철학에 관심을 가진 서양인들에게 템플스테이는 대단히 매력적인 체험이며 관광 자원으로 인식된다. 우리나라에서 템플스테이 사업이 본격적으로 추진된 지 20여 년이 흘렀다. 2002년 한.일 월드컵이라는 국가적 메가 이벤트에 앞서 우리나라를 방문하는 외국인들의 숙박 부족 문제를 해결하고 한국의 전통문화 체험 기회를 확대하기 위한 목적에서 전통사찰들을 숙박시설로 활용하는 방안이 추진되었다. 2002년 한, 일 월드컵 당시 전국의 31개 사찰을 숙박시설로 활용하기 위해서 화장실, 샤워장 등을 개/보수하기 위해 예산이 10억 원 집행된 바 있다.
참고 자료
템플스테이 홈페이지(https://www.templestay.com/)
전병길,정윤조(2011), 템플스테이 체험과 체험 후 효과에 관한 질적 연구. 관광학연구 제35권 제1호(통권 96), pp.73-96. 한국관광학회
전병길(2022), 템플스테이 20년의 성과와 발전방향 세미나, pp.17, 한국불교문화사업단
허갑중(2004), ≪전통숙박시설 육성방안≫, 한국문화관광정책연구원
장영섭(2020.11.17.), 템플스테이는 힐링만? 지역경제도 책임진다, 불교신문
템플스테이 웹진(2020.10),템플스테이 소식, 사회의 ‘치유와 성장’을 위한 템플스테이의 비전 모색
(https://webzine.templestay.com/kr/menu01/news_kr/view?seq=73&search_name=&search_value=&page=1&pagelistno=1)
김용훈(2011), 체험경제 시대의 템플스테이의 관광만족에 대한 연구, 불교학보통권 60, pp.315-340,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한국관광공사 관광일자리센터 공식블로그(2022.8.24.), 관광 트렌드) MZ 세대 여행 트렌드 인포그래픽 분석
(https://blog.naver.com/tourismjob/222856833467)
정성훈, 채석래, 정인원(2007), 단기간의 참선 수행이 갖는 정신 치료적, 생리적 효과, 불교학보 제46집, pp.289-306,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박선재(2019.8.23.), 참선, 명상 등 템플스테이 프로그램 실제로 효과 있었다, 메디컬 옵저버
(http://www.mo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04556)
김연신(2012), 다도교육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논문,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