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문법에서 문법 표현의 예를 둘 이상 들고, 각 문법 표현에 대해 어떤 의미·형태통사
외국어로서의한국어문법교육론
주제: 한국어 문법에서 문법 표현의 예를 둘 이상 들고, 각 문법 표현에 대해 어떤 의미·형태통사·화용·관련어 정보를 가르쳐야 하는지 알아봅시다. 또한 선정한 문법 표현을 활용하여 문장, 대화 또는 담화 단위의 연습이나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등의 활동 교수방법도 포함하십시오
외국어로서의한국어문법교육론
주제: 한국어 문법에서 문법 표현의 예를 둘 이상 들고, 각 문법 표현에 대해 어떤 의미·형태통사·화용·관련어 정보를 가르쳐야 하는지 알아봅시다. 또한 선정한 문법 표현을 활용하여 문장, 대화 또는 담화 단위의 연습이나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등의 활동 교수방법도 포함하십시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으)ㄹ 테니까
2. -는 바람에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언어 교수법의 역사적인 흐름에 따라서 항상 논쟁의 쟁점이 되었던 주제는 바로 “문법을 언어 교수 안으로 끌어들일 것인가 말 것인가?”에 관한 찬반론이었다. 이러한 논쟁은 의사소통적 교육 방법이 대두되면서 더 치열해졌다. 하지만 많은 학자들은 의사소통적 교육 방법에서도 문법 교육이 필요함을 강조했다. Brown도 그 중 한명이었다. 이에 그는 의사소통적 교육 방법에서 문법교육의 중요성을 다음 내용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문법은 의미심장하고 의사소통적인 문맥 속에 깊이 새겨져 있기 때문에 교육이 필요하다.
둘째, 문법 교육은 의사소통적인 목표에 긍정적으로 공헌하므로 필요하다.
셋째, 문법은 유창한 의사소통적인 언어 안에서의 정확성을 증진시키므로 교육이 필요하다.
넷째, 문법은 생생하고 내적인 동기를 부여하므로 교육이 필요하다.
위 내용을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원활한 의사소통을 위해서는 문법 교육이 반드시 필요하다. 한국어는 문법이 어렵기로 유명하다. 그래서 외국인 학습자들이 어려움을 겪기도 한다. 그럼에도 유창하게 한국어를 하기 위해서는 문법 학습을 해야만 한다. 이에 나는 다양한 문법 표현 중 두 가지(-(으)ㄹ 테니까, -는 바람에)에 대해 설명해 보고자 한다. 더불어 관련 학습 활동도 기술해 볼 것이다. 자세한 내용은 본론과 같다.
Ⅱ. 본론
1. -(으)ㄹ 테니까
‘-(으)ㄹ 테니까’는 다양한 의지 표현의 목록들 가운데 유일하게 기본형이 아닌 연결 어미와의 결합형으로 활용된다는 특징이 있다. ‘-(으)ㄹ 테다’는 아랫사람 혹은 친구와 같이 가까운 사이에서 주로 쓰인다. 말하는 사람이 어떠한 일을 반드시 하겠다는 강한 의지나 계획을 드러내는 표현이다.
참고자료
· 방성원 외, 한국어 문법 교육론, 한국문화사, 2021.
· 김민정, 한국어 학습자의 추측 표현문형 사용 양상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2.
· 장원, 한· 중 인과 표현 대조 연구 : ‘-느라고’, ‘-는 바람에’를 중심으로, 국민대학교 대학원, 2014.
· 진가이,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부정 결과 표시 이유·원인 구문 연구 : '-는 바람에', '-는 통에', '-는 탓에'를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대학원, 2021.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