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미리보기
목차
1. 경험경제 논문 중 수업내용(번역본)을 꼼꼼하게 읽고, 이에 대해 발제하고 자신의 생각을 논의하라.(6강과 7강의 워크북 연습문제 2번 참조)
2. SNS 문화는 본질적으로 지리적 시간적 한계를 뛰어넘는 글로벌 사회와 연관된다.
본문내용
1. 경험경제 논문 중 수업내용(번역본)을 꼼꼼하게 읽고, 이에 대해 발제하고 자신의 생각을 논의하라.(6강과 7강의 워크북 연습문제 2번 참조)
1.1 6강과 7강의 수업내용을 숙지하고, 제시된 번역본을 잘 읽고 이를 발제할 것. Welcome to the Experience Economy | B. Joseph Pine II and James H. Gilmore | Harvard Business Review
1990년대 말에 소개가 된 ‘경제개념’의 개념은 혁신적이다. 해당 개념은 당시 새로운 것처럼 보였지만, 오늘날 우리의 경제와 사회 구조에 대해서 중요한 이해를 제공한다. 경험경제의 등장은 테크놀로지의 발전, 문화적 변화, 개인의 욕구와 가치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반영한다.
첫째, 테크놀로지의 발전은 경험 경제를 가능하게 한다. 디지털 기술의 발전은 새로운 형태의 상호작용 연결을 제공해서 소비자들의 제품, 서비스를 단순하게 구매하는 것 이상의 경험을 가질 수 있게 했다.
둘째, 문화와 개인성의 중요성이 상승하면서 소비자들은 단순하게 제품, 서비스를 소비하는 것을 넘어서 자신의 가치를 표현하는 경험을 추구한다.
참고자료
· Welcome to the Experience Economy | B. Joseph Pine II and James H. Gilmore | Harvard Business Review
· Weekly IBK 경제브리프 639호_경험경제 패러다임
· Alexander M. Waksman, “Multi-sided platforms: three questions for antitrust”, E.C.L.R.(2019), p. 211
· 김철식 [플랫폼 경제:온라인 플랫폼 기반 상품·서비스 거래 중개](2020), pp.8-19 부산발전포럼
· 김수영외2, 플랫폼 경제활동에 대한 시론적 고찰, Korea Social Policy Review, 제25권 제4호, 2018, pp.199~231
· 김수영외2, 플랫폼 경제활동에 대한 시론적 고찰: 유형, 특성, 예상위험, 정책대안을 중심으로 p. 203
· 심재한, “인터넷 플랫폼에 대한 공정거래법 적용에 관한 연구”, 상사판례연구 , 제29권 제4호(2016), pp. 309-310
· 박미영, 온라인 플랫폼 규제를 위한 플랫폼 작용의 이해 필요성, 유통법연구 제5권 제2호(2018)
· 송태원, 인터넷플랫폼의 간편결제시장으로 지배력전이에서 경쟁제한성 쟁점에 대한 일고, 고려법학 제80호(2018), pp. 257-258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