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미리보기
소개
이상심리학
주제: 선택적 함구증에 대한 특징과 원인, 치료방법에 대해 서술하고, 실제 치료 사례를 찾아보시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선택적 함구증의 특징과 원인 및 치료방법
2. 선택적 함구증의 치료 사례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최근 들어 육아 전문가 오은영 박사가 진행하는 금쪽같은 내새끼 프로그램을 통하여 집에서는 연신 수다를 떨던 아이가 학교에 가서는 아무 말도 하지 않는 사례가 나타나면서 특정한 상황에서만 선택적으로 입을 다물고 말을 하지 않는 선택적 함구증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선택적 함구증의 경우 말을 할 수 있으나 특정한 상황에서만 말을 하지 않게 되는 장애라고 할 수 있으며 어른보다는 주로 어린 아동에게서 나타나는 경우가 많은 편이다. 구체적으로는 자신과 가까운 가족들과는 편하게 대화를 할 수 있지만 새로운 사람을 만나는 상황이나, 선생님이나 낯선 어른들과 같은 다소 불편한 상대 앞에서는 입을 꾹 닫아버리게 되는 것이 이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선택적 함구증이 지속되면 사회적 의사소통능력이 떨어지게 되고 인간관계에도 문제가 생기며 심각할 경우 언어발달지체 등의 장애로 발전할 수 있기 때문에 해당 증상의 구체적인 내용에 대해 분석해보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글에서는 선택적 함구증의 특징 및 원인, 치료방법에 대하여 정ㄹ하여 서술해보고 이러한 선택적 함구증을 실제로 치료했던 구체적인 사례와 방법을 찾아 함께 설명해보도록 하겠다.
참고자료
· 최경희(2007). 선택적 함묵증 아동의 놀이치료 사례.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제 46권 3호.
· “우리 아이가 말을 안해요-선택적 함구증”. 2016. 07. 01. 한주희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정신의학신문. http://www.psychiatric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413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