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본론: 남해 서면-여수 신덕 국도 건설공사
1) 사례 선정 이유
2) 사례 프로젝트 개요
3) 사례 프로젝트 BIM 적용 과정 및 활용 분야
4) 사례 프로젝트의 BIM 활용 효과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은 건축물의 전 생애주기에 걸쳐 생성되고 관리되는 모든 정보를 통합 관리하는 디지털 설계엔지니어링기법을 말한다. 설계, 시공, 유지관리 단계에서 필요한 도면작성 프로그램 간 호환, 엔지니어링 정보, 사업관리 정보 등의 호환이 가능해 건축, 토목, 기전 등 다양한 분야의 업무를 효율적으로 조율할 수 있다. 이에, 공사 기간이 단축되고 비용이 절감되는 등 생산성이 향상되고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많은 장점이 있는 첨단 설계기법이다. 이동화, 방중석, 김정현, 정재수(2010). BIM을 활용한 설계사례(용인시민체육공원). 대림기술정보지 상반기호. 102-111.
1980년대 객체 기반의 파라 메트릭 모델링 기술을 기반으로 등장해 기존의 CAD 기술과 차별화되었으며, 1990년대 프랭크게리의 월트디즈니 콘서트홀과 빌바오 구겐하임 미술관 같은 건물에 적용하기 시작했다. 이어 2000년대 BIM이라는 개념으로 발전했으며, 기술의 발달과 함께 이른 시간 안에 세계적으로 전파된다. 윤태환, 한만천, 함남혁, 김재준(2019). BIM을 이용한 건설프로젝트의 이점에 관한 사례 연구- 국내 건축공사 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BIM학회논문집 9권 4호. 10-20.
BIM은 시공사 관점에서 실제 지어질 건물을 가상의 공간에 먼저 시공해 보고 문제점과 과정을 파악할 수 있으므로 업무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국가 차원의 가이드라인이 만들어지는 등 다양한 건설 현장에서 BIM이 적용되고 있다. 2012년부터 조달청에서 발주하는 500억 원 이상 공공 공사에 BIM의 적용을 의무화하였고, 맞춤형 서비스로 집행되는 모든 공사에 BIM을 의무화하고 있다. 장영호(2015.12.01). 내년부터 조달청 맞춤형서비스 공사, ‘BIM 의무화. 건축사신문
https://www.ancnews.kr/news/articleView.html?idxno=2663
참고자료
· 국토교통부 기술안전정책관(2021.6.). BIM 기반 건설산업 디지털 전환 로드맵
· 방상혁, 장경수, 조은지, 김광염, 김우진(2023). BIM/AI 기반 설계 자동화 사례 : 남해-여수 국도건설공사. 대한토목학회지, 71(11), 102-105.
· 윤태환, 한만천, 함남혁, 김재준(2019). BIM을 이용한 건설프로젝트의 이점에 관한 사례 연구- 국내 건축공사 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BIM학회논문집 9권 4호. 10-20.
· 이동화, 방중석, 김정현, 정재수(2010). BIM을 활용한 설계사례(용인시민체육공원). 대림기술정보지 상반기호. 102-111.
· 장영호(2015.12.01). 내년부터 조달청 맞춤형서비스 공사, ‘BIM 의무화. 건축사신문
· https://www.ancnews.kr/news/articleView.html?idxno=2663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