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소개글
"고전문학론 과제_주체적인 여성의 이야기 검녀"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작가 안석경
2.1 안석경의 『삽교만록(霅橋漫錄)』
2.2 안석경의 대명의리론 및 북벌론
3.「검녀」
3.1 「검녀」의 작품 내용
3.2 「검녀」의 등장인물
3.2.1 소응천
3.2.2 주인댁 아씨
3.2.3 검녀
3.3 「검녀」의 특징 - 검녀의 ‘주체성’
3.4 문학사적 의의
3.5 「검녀」를 바라보는 나의 해석, 시선
4. 결론
5.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조선 시대는 유교적 봉건 체제 아래에서 여성들의 삶을 억압했다. 여성은 삼종지도를 따라, 어려서는 아버지에게, 자라서 시집을 가서는 남편에게, 남편이 죽은 뒤에는 아들을 따라야 했으며 여성의 개인적인 삶을 살아가기보다는 남성들에 의해 지배당하고 순종하는 삶을 살아야 했다. 이러한 유교적인 이념은 당시 문학에서도 잘 나타난다. 흔히 우리는 순종적이고 수동적이며 의존적인 여성의 모습을 전통적인 여성상이라 일컬는다. 하지만 당시의 모든 작품에서 그런 여성의 모습을 드러내는 것은 아니다. 여성의 삶을 구속한 사회에서 능동적이며 주체적인 자신의 삶을 살았던 여성들이 존재한다. 대표적으로 『박씨전』의 박씨는 뛰어난 능력으로 병자호란 당시 우리나라를 침략한 청나라의 장수를 도술로 물리친다. 박씨는 용감하며 지혜로운 여성 영웅으로 나라의 위기를 극복한다. 또한 당시의 가부장제 및 결혼관의 가치관에 반하여 주체적인 태도를 지닌 작품도 존재한다. 바로 삽교 안석경의『검녀(劍女)』가 대표적인 예라고 볼 수 있다. 『검녀』는 조선후기 한문단편으로 조선시대의 여성검객의 이야기이다. 필자는 『검녀』의 인물에 집중하여 당시의 체제를 순응하지 않고 자신의 삶을 주체적으로 선택한 여성의 이야기를 하고자 한다. 또한 이러한 여성을 통해 우리나라의 고전문학을 활용한 새로운 문화콘텐츠를 만들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2. 작가 안석경
안석경(1718-1774)은 자가 숙황숙화(淑華)이며, 호가 완양(完陽), 삽교(霅橋)로서, 본관은 순흥(順興)이다. 그는 삼십 대 초반까지 과거 시험에 여러 차례 응시했지만, 낙방을 거듭했다. 1767년에 강원도 관찰사로 있던 민백흥이 안석경을 조정에 천거했지만, 부임하지 않았다. 안석경은 평생 벼슬에 나가지 않은 채 횡성 삽교리에서 삶을 마칠 때까지 후학들을 가르치는 한편, 저술 활동에 힘을 썼다.
참고 자료
박희병·정길수 편역(2010), 『기인과 협객』, 돌베개.
명지대인문과학연구소(2002), 『문학 속의 여성』, 월인.
강혜규(2008), 삽교, 안석경의 「검녀」연구 - 여협서사 전통의 계승과 변용, 한국한문학회, 한국한문학연구 41권
송정우(2019), 조선후기 한문 검협서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 논문
윤지훈(2006), 삽교 안석경의 인물론과 북벌에 대한 인식, 한국한문교육학회, 한문교육연구 27권
이경미(2008), 조선후기 한문소설 『검녀(劍女)』를 통해 본 한, 중 여협의 세계,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석당논총 40권
이명학(21985), 한문단편에 나타난 여성형사-「검녀」,「길녀」를 중심으로, 한국한문학회, 한국한문학연구 8권
이병직(2012), 강상효녀담의 창작의식과 소설로의 수용, 한국고소설학회, 고소설연구 33권 33호
정우봉(2019),『삽교만록(霅橋漫錄)』해제,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민족문화연구 82권0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