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목적
‘심장과 폐 되살리기’ 라는 뜻 이다. 심정지로 인한 주요장기의 비가역적 손상을 막기 위하여 인공순환과 인공호흡을 시행하여 조직으로 산소를 공급하고 심박동을 회복시켜 심정지 환자를 소생시키기 위한 치료기술이다. 심폐소생술은 미국심장협회에서 밝혔듯이 심장과 호흡이 멈춘 지 4분 이내에 시작하면 살아날 가능성이 높으며, 시간이 갈수록 뇌가 손상되어 사망하게 된다. 전문적 치료요원이 치료를 할 때 까지 뇌와 심장에 산소를 공급할 목적으로 시행되는 기본 소생술(BLS;basic life support)이다. 심폐소생술 초기 단계에 시행하게 되는 가슴압박, 기도 개방, 인공호흡, 자동제세동기(AED)의 사용은 기본소생술에 해당한다.
2) 적응증
- 주위에서 일어나는 급사의 모든 범위에 적용
- 심장마비: 현대 문명의 발달과 함께 급격히 증가 첫 증후가 온지 2시간 이내에 사망하는 경우가 많아 병원으로 오기 전에 50-60%가 생명을 잃는다. 이때 조속한 CPR이 시행되고, 후속적인 처치를 한다면 많은 생명을 구할 수 있다.
- 그 외: 익사, 질식사, 감전사, 약물 남용사, 교통사고사
- 어른의 급사는 대부분 심장 문제, 아이들(5세 이하)은 대부분 호흡기도폐색
3) 생존 사슬
- 개념: 병원 밖에서 심정지가 발생한 환자의 생존을 위하여 응급처치가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시행되어야 하며, 이 과정을 생존 사슬이라고 한다.
<중 략>
5) 수행과정
① 대상자를 발견하면 어깨를 가볍게 흔들며 환자의 의식 확인한다.
② 반응 없음이 확인되면, 즉시 한 사람을 지정하여 119에 연락하여 도움을 요청하고, 또 다른 사람을 지정하여 자동 체외 제세동기를 가져오라고 지시한다.
③ 경동맥을 촉지하여 맥박 확인한다(의료인의 경우).
④ 경동맥 맥박이 없는 경우, 바로 흉부압박 시작한다.
-흉부압박의 위치는 가슴중앙을 확인한다.
-압박지점에 한쪽 손꿈치를 대고 다른 한 손을 그 위에 포개어 깍지를 낀 자세로 손을 놓는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