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질병 기술
1. 원인과 역학
2. 병태 생리
3. 임상 증상과 진단적 검사
4. 치료적 접근
5. 간호 적용
II. 간호 사정
1. 일반적 사항
2. 대상자의 건강력
2-1. 현 병력
2-2. 과거력(질병력, 입원경험, 수술경험, 상용하는 약물)
2-3. 가족력(고혈압, 당뇨, 천식, 결핵, 간염 등 유전성 질환 유무)
3. 건강사정
4. 약물
5. 진단검사(혈액, 소변, 영상검사 등 해당 항목 조사)
6. 입원 후 질병진행 경과
III. 대상자 상태 평가 및 문헌고찰과 비교한 임상 중재 차이점 비교
1. 대상자 상태 확인
2. 문헌고찰과 임상중재 차이점 비교
3. 대상자 우선순위별 간호문제 목록 도출 근거 및 중재 방법
IV.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원인과 역학
울혈성 심부전의 원인은 다양하나, 일반적으로 고혈압, 협심증, 심근경색, 심장근육병, 판막질환, 선천성 심질환(심실중격결손) 및 갑상샘 기능항진증 등 모든 심혈관 질환을 치료하지 않고 방치할 경우 심부전으로 진행될 수 있다. 이 중 기질적 심질환의 50-60%에서 심부전이 발생되고, 그 중 60%은 허혈성 심질환이다. 또한, 가장 흔한 원인은 급성심근경색이다.
2. 병태생리
전부하의 증가
• 전부하의 증가 -> 심실 확장 -> 초기 심박출량 증가 (Frank-Starling) -> 장기적으로 심근의 과도 신장 -> 심근 수축 기능 저하
• 원인: 체액 저류, 신부전, 정맥환류 증가 등
후부하의 증가
•후부하의 증가 -> 좌심실 수축력 감소 -> 박동량 및 심박출량 감소
• 원인: 고혈압, 대동맥판협착증, 폐동맥판협착증 등
심실충만장애
• 심실충만장애 발생 -> 심실이 충분히 채워지지 않음 -> 심박출량의 감소
• 원인: 좌심실 비대, 제한성 심근병증, 심낭압전 등
심근 수축력 저하
• 심근 수축력의 저하 -> 심박출량 감소 -> 조직 관류 부족 -> 조직 허혈 발생
• 원인: 심근경색, 확장성 심근병증, 칼슘 길항제 투여 등
3. 임상 증상과 진단적 검사
좌심부전
-피로 : 심박출량의 감소로 사지근육과 피부로 가는 혈류 감소로 인한 전신 쇠약, 정맥울혈과 관련된 순환시간 지연에 따른 피로감 경험
-호흡곤란 : 폐정맥압 상승 및 폐울혈로 인한 호흡곤란 경험 특히, 돌발야간호흡곤란(Paroxysmal nocturnal dyspnea;PND)이 대표적으로 나타남
참고자료
· 윤은자 외, 성인간호학I, II, 수문사, 2022.
· 이동숙 외, 기본간호학I, II, 2019.
· 국제간호진단협회 외, 간호진단 정의와 분류, 2021.
· 기본간호학I, 이동숙 외. 메디컬사이언스, 2019.
· 박은영 외,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현문사, 2019.
· 노인간호학, 한국노인간호학회, 현문사, 2020.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