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직 및 여성노동자 노사관계 문제와 개선방안 서비스직 노사관계 문제
- 최초 등록일
- 2024.07.15
- 최종 저작일
- 2024.06
- 6페이지/ MS 워드
- 가격 3,000원
소개글
노사관계론
서비스직 및 여성노동자 노사관계 문제와 개선방안
목차
1. 서비스직 노사관계 문제
2. 여성노동자 노사관계 문제
본문내용
1. 서비스직 노사관계 문제
1) 개요
국내 감정노동 종사자 수는 '근로환경 실태조사(2011년)'와 '국민건강영양조사(2007~2009년)'를 기준으로 전체 임금노동자의 38~42%인 약 56~740만명으로 추산된다.14) 1980년대 43.5%였던 국내 서비스업 고용 비중은 현재 미국의 서비스업 종사자 수가 81.6%, 선진국의 평균가치가 74.9%라는 점에서 67.3%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서비스업 규모가 커지면서 감정노동이 이뤄지는 고객 대면 업무 영역이 다양해지고 있다. 감정노동의 수준은 다르지만 유통, 콜센터 텔레마케터, 승무원, 호텔숙박 등이 대표적인 감정노동이며, 민원서비스를 제공하는 의사, 변호사 등 전문직 종사자도 감정노동을 수행하고 있다. 이처럼 서비스산업의 성장은 이에 종사하는 감정노동자 수의 확대로 직결된다. 특히 감정노동 수요가 높은 일자리는 새로운 일자리를 더 많이 창출하고 일자리 증가 속도를 높이는 것은 소득이 증가함에 따라 고객과 교류하는 다양한 형태의 대면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이밖에 고용노동부의 최근 3년간 '기업노동실태조사'에 따르면 감정노동자의 50% 가까이가 30인 미만 소규모 사업장에 취업하고 있으며, 최근 3년간 감정노동자의 소규모 사업장에 취업하는 비중이 증가하는 추세다. 감정노동이 저평가된 주요 원인 중 하나는 고용안정성이 낮고 임금수준이 낮은 비정규직과 간접고용 노동자가 감정노동자의 대다수를 차지하는 현상이다.
참고 자료
김수한, 신동은 (2014). 기업 내 여성관리자의 성차별 경험, 한국사회학, 48(4), 91-125.
김왕배(2012). 「감정노동자의 직무환경과 스트레스」, 한국사회학, 26(2), 146.
강주연(2014). 직종에서의 성별 임금격차.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