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간호과정
1) 비정상적 자료 목록-주관적/객관적 자료
2) 간호진단4개 + 간호계획 (우선순위별)
3) 간호평가 및 결과(환자 반응)
4.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선정 배경
최근 국민건강보험공단이 발표한 골관절염 환자 진료 현황에 따르면 무릎 관절염으로 진료를 받은 환자는 지난해 기준 4년 새 약 6.7%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정형외과 병동에서도 대다수를 차지하는 골관절염에 대한 내용 및 간호진단을 통해 대상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간호중재와 이론적 근거에 대해 탐구하고자 이 사례를 선정하였다.
2. 자료수집 기간 및 방법
1) 자료수집 기간 : 2024.1.23.~2023.1.26
A. 문헌고찰
1. 정의 및 분류
골관절염(osteoarthritis, OA)은 퇴행성관절질환, 퇴행성관절염이라고 하며, 관절염 중 가장 흔히 발생하고 국소적 퇴행성 변화가 나타나는 만성질환이다. 뼈의 관절 면을 감싸고 있는 관절 연골이 마모되어 연골 밑의 뼈가 노출되고, 관절 주변의 활액막에 염증이 생겨서 통증과 변형이 발생하는 질환이다. 주로 체중부하관절에서 일어나고, 40세 이상 인구에서 70%, 65세 이상 인구에서 80%정도에서 관절의 퇴행성 변화가 나타나 노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본다. 골관절염은 슬관절이나 고관절같이 체중부하를 많이 받는 관절의 가장자리에 골형성과 더불어 관절연골 표면에 발생한다.
2. 증상 및 징후
● 주요 증상: 관절 통증과 15~30분 미만의 아침강직
3. 진단 및 치료적 중재
<진단>
1) 방사선검사
● X-선: 퇴행성변화, 관절 공간 변화
● CT: 골낭종과 경화증 진행으로 나타나는 뼈돌기 확인
● MRI: 초기 퇴행성 변화 규명
● 골밀도: 연골 경화증 시 증가
2) 임상검사
● ESR: 염증질환 시 증가
● 류마티스인자(RF): 양성=류마티스관절염
<치료적 중재>
1) 보존적 치료
● 휴식과 관절보호
- 급성기에 휴식
- 필요시 부목 사용, 장시간 서 있기, 쪼그려 앉기 등 관절에 무리를 주는 활동 피하기
참고자료
· 제8판 성인간호학 하, 유양숙 외9, 현문사, 2022, p.338-341
· 노창세(2009), 측두하악관절 골관절염 환자의 진단에서 Cone Beam 전산화단층촬영의 유용성, 대한구강내과학회지, p.82
· 김지은(2022), 요양병원 간호사의 노인변비 간호지식과 간호활동에 관한 연구, 노인간호학회지, p180-181
· 약학정보원
· https://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PPPPP0769
· https://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BBBBB1346
· https://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0030A0329
· https://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GGGGG5334
· 무릎 퇴행성 관절염, 말기 진행되기 전 ‘자가 골수 줄기세포 이식술’로
· https://www.medisobiza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10709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