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2. Object
빛을 흡수하는 성질을 가진 물질은 특정 파장의 빛에너지에 기여하는데, 이는 물질의 고유 현상을 나타내게 되며, 이러한 전자 스펙트럼에 대한 연구법을 분광광도법이라고 한다. 물질의 정량에 이용하는 Lambert-Beer’s law는 빛(복사선)이 물질층을 통과하면 일부가 흡수되는데, 이 때 흡광도와 빛의 흡수 경로 길이, 물질의 농도와의 상관관계를 설명한 법칙이다.
이번 실험에서는 물리적 분석방법 중 하나인 분광광도법을 이용하여 ferric ion을 정량분석한다. Fe³⁺은 pH 2~3 이상에서 salicylic acid와 반응하여 보라색 chelate를 형성한다. 이 chelate 화학종의 visible spectrum을 측정하고 최대 흡광이 이루어진 파장을 선택해 농도 변화에 따른 흡광도를 측정하면 화합물의 검량선을 작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미지시료 속의 chelate 화합물을 정량분석할 수 있다.
i. Reagents
① Fe(NH4)(SO4)2·12H2O (482.19 g/mol, Iron(Ⅲ) ammonium sulfate dodecahydrate, 황산제이철암모늄 12수화물, d=1.71 g/cm³, bp=230℃, mp=39~41℃, 피부에 닿지 않도록 주의한다.)
참고자료
· 단행본: Douglas A. Skoog, Donald M. West, F. James Holler, Stanly R. Crouch. (2021). 스쿠그의 분석화학 강의 (제9판) 발행지: CENGAGE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