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미리보기
소개
"인체생리학 - 자율신경계"에 대한 내용입니다.
인체생리학의 자율신경계파트의 대략적인 이해 및 시험준비 혹은 레포트 작성에 유용한 글입니다.
목차
1. 신경계의 분류와 자율신경계
2. 부교감신경과 교감신경의 일반적 특성
3. 자율긴경계의 기능
- 콜린성 시냅스 전달
- 아드레날린성 시냅스 전달
- 부신수질
- 염주
4. 자율신경계의 작용 : 이중 신경지배
본문내용
■ 신경계의 분류와 자율신경계
그림 nerve system diagram, https://cliffsnotes-v1.dev.webnp.hmhco.com/
신경계는 크게 중추신경계(central nervous system, CNS)와 말초신경계(peripheral nervous system, PNS)로 나눌 수 있다. 중추신경계는 뇌와 척수로 구성되며 뇌(brain)와 척수(spinal cord)로부터 나와 이어지는 뉴런들은 말초신경계에 속한다. 말초신경계는 구심성 신경(afferent nerve)과 원심성 뉴런(effernet nerve)로 구성된다. 감각에 대한 정보는 구심성 뉴런을 통해 중추신경계를 거쳐 원심성 뉴런을 통해 운동성 반응을 일으킨다. 이때, 원심성 뉴런은 체성신경계(somatic nervous system)을 통해 수의적 조절에 관여하고, 자율 신경계(anutonomous nervous system)을 통해 불수의적 조절에 관여한다. 또한, 신경계는 교감신경(sympathetic nervous system)과 부교감 신경(parasympathetic nervous system으로 분류할 수 있다.
참고자료
· Clark, M.A., Douglas, M. & Choi, J. (2023). 34.5 The Peripheral Nervous System. In Biology 2e. OpenStax.
· Byung Rim Park (2017). Research in Vestibular Science Vol. 16, No,4
· The Nervous System in General Biology (Boundless).
· Human Physiology (by Stuart Ira Fox)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