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적 유능량이란 사회가 가치롭게 여기는 방범을 사용하여 상황을 인식하고, 타인 또는 사회적 목적을 성취하기 위해 발휘하는 사고 ․ 정서 ․ 행동의 통합적 개인 능력이다. 사회적 유능감은 개인 내적 요인의 발달과 환경적 요인의 학습에 의해 획득된다.
영유아가 무책임하기보다는 책임감이 있을 때, 남의 말을 잘 따르기보다는 독립적일 때, 적대적이기보다는 우호적일 때, 반항적이기보다는 협동적일 때, 목적이 없는 것보다는 목적이 있을 때, 충동적이기보다는 자기조절을 잘 할 때 사회적으로 유능하다고 본다(Baumrind 1995, Landy, 2002).
모든 영유아가 사회적 환경을 탐색하고 적응을 위해 노력하지만 영유아기의 기초적 사회능력 위에 누적되는 학습의 결과에 따라, 보다 더 유능하거나 다소 별 유능한 행동으로 차이를 보이게 되며, 이런 결과는 앞으로의 생애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1) 사회적 유능감의 발달
사회 안에서의 영유아는 틀림없이 타인과의 상호작용과 사회적 상황에 자신을 포함하거나 조절해 보는 등의 행동을 시도해 봄으로써 반응하는 수많은 방법들을 배우게 된다. 생애 초기 영아는 친숙한 인물과 낯선 인물과의 차이를 변별하면서 낯가림을 시작으로 하여 곧 남선 타인을 의미로운 타인으로 전환하게 되면서 그들의 사회화는 긍정적이고 적극적으로 사회화의 관계를 시작하게 된다.
참고자료
·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엠앤비, 2015
·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 성장발달과 건강 : 김태임, 김희순 외 3명 저 / 2014 / 교문사
· 아동발달 / 이항재 저 / 교육과학사 / 2004
·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