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미리보기
소개
"노인전문 간호사 공부(1차,2차) 양성전립선비대증 정의 및 해부학적 위치, 증상, 검사, 사정 및 진단, 계획 및 간호중재, 약물치료 및 수술, 요점"에 대한 내용입니다.
2차 준비에 도움이 되고 합격하시길~! 화이팅입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정의 및 해부학적 위치
양성전립선비대증(Benign Prostatic Hyperplasia)은 전립선의 간질/ 상피조직에 양성 증식을 의미한다.
전립선은 방광 바로 앞에 위치하며, 방광경부와 요도의 심부를 싸고 있는 내분비선으로 정액을 생성한다. 전립선은 크기가 호두만 하여 가로 세로가 각각 3.5-4cm이고 무게는 약 20gm 정도 이다. 전립선비대증의 조직학적 변화는 30대 전후부터 나타나며 50대의 50%,80대의 80%에서 각각 발생한다. 전립선의 크기도 나이가 들면서 점점 증가한다.
증상
소변이 가늘고 힘이 없어지며, 소변줄기가 끊어지기도 한다.
소변을 보고나서도 시원한 느낌이 들지 않는다.
소변을 볼 때, 소변이 나오기 시작할 때까지 시간이 걸리거나 힘을 주어야 소변이 나온다
소변이 자주 마렵거나 갑자기 마려우며 소변을 참기가 힘들다.
밤에 자다가 일어나서 소변을 보아야 한다.
검사
요검사는 필수적인 검사로서 염증과 감염이 동반된 경우에 백혈구와 적혈구 및 세균을 관찰할수 있다.
잔뇨 측정과 더불어 요류측정술은 전립선 비대증으로 인한 폐색의 정도를 평가하는데 정확하고 간단하면서도 비침습적인 검사 이다. 정상인의 경우 최대 요속은 20-25mL/sec이며, 전립선 비대증 남성에서는 최대 요속이 15mL/sec이하로 감소되어 있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