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미리보기
소개
"심근경색 조사 보고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1) 심근경색의 정의
2) 심근경색의 증상
3) 심근경색의 발생원인
4) 진단
5) 검사 및 치료
6) 합병증
7) 간호중재
8) 예방법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심뇌혈관질환은 우리나라의 주요 사망 원인으로 1위인 암에 이어 심장질환이 2위, 뇌혈관질환은 4위로 이로 인한 사회경제적 부담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질병관리청, 2022a). 심뇌혈관질환 조기 증상 인지율을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심근경색증 및 뇌졸중 조기 증상 인지율은 20대의 경우 각각 41.1%, 42.4%, 30대의 경우 각각 48.0%, 52.6%으로 70대 이상을 제외하면 20대와 30대에서 가장 낮았다(Kim et al., 2023, p.4). 많은 사람이 병을 걱정함에도 정작 예방·관리하는 데는 무심한 경향이 있다. 당장 눈앞에 보이는 증상이 없어 심각하게 여기지 않는다. 성인들은 심뇌혈관질환에 대한 경각심을 가지고 예방과 관리에 신경 쓸 필요가 있다. 미래 간호사로서 질병을 이해하고, 흔히 볼 수 있는 심근경색 환자에게 적절하고 효과적인 간호를 제공하기 위해 심근경색증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Ⅱ. 본론
1) 심근경색의 정의
심장은 크게 3개의 심장혈관(관상동맥)에 의해 산소와 영양분을 받고 활동한다. 이 3개의 관상동맥 중 어느 하나라도 혈전증이나 혈관의 빠른 수축 등에 의해 급성으로 막히는 경우, 심장의 전체 또는 일부분에 산소와 영양 공급이 급격하게 줄어들어서 심장 근육의 조직이나 세포가 죽는(괴사) 상황을 심근경색증이라 한다.
심근경색증이 발생하면 1/3은 병원에 도착하기 이전에 사망한다. 병원에 도착하여 적절한 치료를 받더라도 사망률이 5~10%에 이르는 무서운 질환이다. 따라서 골든타임인 2시간 이내에 적절한 치료를 받아야 한다.
심근경색은 부위별로 전벽 심근경색증, 하벽 심근경색증, 심한 정도별로는 통벽성 심근경색증(transmural myocardial infarction, 전층심근경색증)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