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성준, 『최고의 조직』, 초판; 서울: 포르체, 2022.
· 김은주, 『생각하는 나의 발견 방법서설』, 초판; 서울: 아이세움, 2011.
· 선혜영 외, 「감정코칭프로그램이 직장인의 강점자기효능감, 긍정정서, 자기효능감, 직무열의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30호,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 2017.
· 유계숙, 「직장 내 집단따돌림에 영향을 미치는 조직문화와 반 따돌림 대처의 효과: 의료・교육・금융서비스업 종사자를 중심으로」, 한국보건사회연구, 35(4),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5.
· 윤은주, 한나 아렌트의 예루살렘의 아이히만 읽기, 초판; 서울: 세창미디어, 2022.
· 이진우, 『한나 아렌트의 정치 강의』, 초판; 서울: 휴머니스트, 2019.
· 이혜정(Hyei Jung Lee)·송병국(Byeong Kug Song). 「한나 아렌트의 "악의 평범성"을 통한 학교폭력의 본질 탐색」, 교육철학 55호, 한국교육철학회, 2015.
· 제이아셰르, 루머의 루머의 루머, 위문숙, 초판; 서울: 도서출판 내인생의책, 2009.
· 한나 아렌트, 『예루살렘의 아이히만』, 김선욱 역, 1판; 경기: 한길사, 2006.
· 「"점심시간에 나만 빼고 우르르 나가요"…투명인간 취급하는 직장 내 '따돌림'」, <인사이트>, 2018.03.18., 〈https://www.insight.co.kr/news/145557〉(검색일: 2023.05.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