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소개글
"A+ 아동간호학 Case Study 미숙아 호흡곤란 증후군 RDS 만점 사례보고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Ⅰ. 사례보고서
1. 질병에 대한 문헌고찰
2. 간호과정
본문내용
케이스 환아 진단명:
other preterm infants : 34-36 completed weeks, RDS(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Jaundice
[1. 질병에 대한 문헌고찰]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RDS, 미숙아 호흡곤란 증후군)
1. 원인 및 발생 빈도
- 재태기간 37주 미만의 미숙아는 폐포확장을 유지할 만큼의 충분한 계면활성제가 생성되지 않기 때문에 미숙아 호흡곤란 증후군이 발생할 수 있음
- 미숙아의 재태연령이 어릴수록 호흡곤란 증후군의 발생 가능성이 높음
- 재태기간 28주 이하의 미숙아는 호흡곤란 증후군 발생률이 60~80%, 32~37주 미숙아의 경우 발생률 15~30%
2. 병태생리
- 호흡곤란 증후군을 가진 미숙아는 폐의 순응도가 낮게 나타나 일반적으로 기계적 환기와 산소공급 필요
- 폐계면활성제의 부족으로 폐포가 동일하게 확장되지 못하고, 허탈되는 무기폐 발생
- 무기폐는 환기의 저하를 초래하여 저산소혈증 초래
- 저산소혈증 지속 시 무산소당분해 활성화 -> 젖산 다량 생성 -> 대사성산증 초래
- 무기폐성 폐는 과다한 이산화탄소를 효율적으로 배출하지 못해 호흡성 산증 초래
3. 임상증상
- 호흡곤란 증후군을 가진 신생아는 질병의 중증도에 따라 다양한 호흡곤란 양상을 보임
- 신생아 호흡곤란 증후군은 급성기 질병으로 출생 초기의 호흡곤란 증상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 심해짐
- 신생아의 호흡수는 계속 증가하고(60회 이상/분), nasal flaring, 심한 흉골, 늑골 견축이 관찰됨
- 양쪽 폐에서 미세 수포음이 들릴 수 있고, 호기 시 그렁거림(grunting)이 관찰됨
- 상태가 악화되면 무호흡, 서맥, 청색증을 동반
- 난원공, 동맥관을 통해 혈액의 좌-우 단락 초래
참고 자료
서울대학교병원 N의학정보, 신생아 황달, http://www.snuh.org/health/nMedInfo/nView.do
삼성서울병원 모아집중치료센터, 광선치료, http://www.samsunghospital.com/dept/main/index.do?DP_CODE=FETC&MENU_ID=013048028054
김희순 외, 『시뮬레이션을 적용한 아동청소년간호학Ⅰ』, 수문사, 2022.
김희순 외, 『시뮬레이션을 적용한 아동청소년간호학Ⅱ』, 수문사, 2022.
박형숙 외, 『기본간호술기』, 현문사, 2021.
성미혜 외, 『근거기반간호 간호과정』, 수문사, 2019.
윤은자 외, 『성인간호학Ⅰ』, 수문사, 2022.
송경애 외, 『개정판 최신 기본간호학Ⅰ』, 수문사 2022.
송경애 외, 『개정판 최신 기본간호학Ⅱ』, 수문사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