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TBD 관리
- 최초 등록일
- 2024.06.08
- 최종 저작일
- 2024.06
- 6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3,000원
소개글
"PTBD 관리"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목적
2. 준비물
3. 방법
본문내용
1. 목적
피부를 통해 담즙을 체외로 배출하기 위함이다.
2. 준비물
10% Betadine 솜, Gauze(3× 4), 반창고, 담즙주머니, 3-way
3. 방법
1) 환자이름과 등록번호를 확인하고 개방형 질문으로 환자를 확인한다.
2) 환자에게 시술의 목적과 방법을 설명한다.
3) 시술 전날 자정부터 금식한다.
4) 시술 도중의 응급 상황에 대처하기 위해 정맥 주입로를 확보한다.
5) 환자를 Chert와 함께 눕는 차로 혈관조영실로 보낸다.
6) 시술 후 환자가 돌아오면 상처 부위를 관찰하고 튜브가 꼬이거나 막히지 않았는지 관찰한다.
7) 튜브에 담즙 주머니를 연결하고 튜브가 꼬이지 않도록 주의하면서 상처 아래쪽 복부에 반창고로 튜브를 고정하여 배액 튜브가 빠지지 않도록 한다.
8) 담즙 주머니를 상처 부위보다 항상 낮게 위치하도록 하며(배액의 역류를 막고 중력에 의한 배출을 돕기 위함이다) 환자는 반좌위를 취해준다. 운동 시에는 담즙 주머니를 대퇴부에 고정한다.
9) 활력징후를 측정하고 환자의 상태에 따라 음식을 먹도록 한다.
10) 매 Duty 튜브 주위의 피부를 관찰하고 건조하게 유지시킴, 출혈이나 담즙이 스며 나 오는지 관찰한다(담즙이 복부 내에서 새는 경우 환자는 복통과 발열, 오한이 있게 된다). 튜브 주위 소독 및 Irrigation은 매일 혹은 격일로 삽입 부위 상태와 튜브의, Patency 여부에 따라 시행한다.
11) 담즙의 양과 색깔을 관찰하고 담즙 주머니를 비워 주며 매일 배액량을 측정한다(갑작스러운 배액량의 감소는 튜브의 기능 부전을 의미할 수 있으므로 주의 깊게 관찰 한다).
12) 튜브를 가지고 퇴원하는 경우 튜브 및 피부 관리, 담즙 주머니 관리, 배액량 측정, 합병증 증상에 대해 환자와 보호자에게 교육한다.
참고 자료
김금순 외, 성인 간호학1, 수문사, 2024, P.320
김금순 외, 성인 간호학1, 수문사, 2024, P.333-381
전시자 외, 성인간호학(상) 제 5판, 현문사, 2011, p.321-322
김금순 외, 성인 간호학1, 수문사, 2024, P.482-4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