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충남대] 생태학실험보고서 A+ 하천생태계 건강성 평가"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I. Introduction
II. Material and Method
1. 어류 채집 및 FAI
III. Result and Discussion
1. Result
2. Discussion
IV. Final Outcomes
본문내용
I. Introduction
생태학(Ecology)은 생물과 환경의 상호작용을 연구하는 생물학의 한 분야이며 생태학은 생물의 다양성과 풍부함, 분포 등을 관찰한다[1]. 주요 연구 영역으로는 생물다양성, 서식지, 생태적 지위, 생물권, 집단생태학, 생태계 생태학 등이 있다[2]
Qualitative habitat Evaluation Index(서식지 평가 지수)란 미국 EPA에서 개발한 수중 생물의 서식환경에 대한 물리적 평가지수이다[3]. 각 평가에 해당하는 점수를 계산하여 등급을 나눌 수 있다. 어류의 평가등급은 FAI(fish assessment index)를 사용하여 어류 군집의 생태학적 건강 평가를 수행한다. 어류를 채집한 후 8개의 메트릭을 이용하여 점수를 매기는 방식이다. 하천 차수는 하천의 규모가 증가할수록 출연종과 채집 개체수가 늘어나 종 다양도가 증가하는 것에 대응해 고려되었다. 어류를 이용한 IBI 모델은 어류가 다른 지표종에 비해 한 세대가 길기 때문에 장기간의 환경 변화를 반영할 수 있다. 또한 이동성이 있기 때문에 다양한 서식조건을 대표하기 때문에 널리 사용된다. 수생태계의 최상위 소비자로서 먹이사슬을 통한 오염의 최종적인 영향을 반영할 수 있으며 채집현장에서 비교적 동정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4],[5].
어류의 채집 장소는 대전의 반석천에서 실시하였으며, 이는 반석천의 생태계 건강성을 평가하기 위함이다. 반석천과 연결된 갑천은 대전광역시의 3대 하천 중 하나로 대둔산에서 발원하여 여러 개의 소하천이 유입된다[6]. 현재는 많은 개발 등으로 짧은 시간에 생태계가 훼손되었으며, 이후 갑천과 반석천에 대한 오염도 평가는 계속 연구되고 있다[6].
참고 자료
Gilbert, S. F., & Epel, D. 2009. Ecological developmental biology: integrating epigenetics, medicine, and evolution.
Shepardson, D. P. 2005. Student ideas: What is an environment?. The Journal of Environmental Education, 36(4), 49.
Gazendam, E., Gharabaghi, B., Jones, F. C., & Whiteley, H. 2011. Evaluation of the Qualitative Habitat Evaluation Index as a planning and design tool for restoration of rural Ontario waterways. Canadian water resources journal, 36(2), 149-158.
US EPA. 1993. Fish field and laboratory methods for evaluating the biological integrity of surface waters. EPA 600-R-92-111. Environmental Monitoring systems Laboratory-cincinnati office of Modeling, Monitoring systems, and quality assurance Office of Research Development, US EPA, Cincinnati, Ohio 45268, USA
안광국, 이의행, 2006, 어류의 군집 메트릭 모델을 이용한 유구천의 생태 건강도 평가, Korean J. Limnol.39(3) : 310-319
양윤모 외 6인, 2019, 갑천 표층 퇴적물의 금속류 분포 및 오염도 평가, J. of the Korean society for environmental analysis, 한국환경분석학회지 제22권 (제2호) 50~60
김용석 외 18인, 2022, 전국 수생태계 현황 조사 및 건강성 평가 사업, 국립환경과학원 물환경공학연구과, p.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