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진단은 3개 중 1개의 계획까지만 적혀 있고 수행은 없습니다
[기도 내 분비물 증가와 관련된 비효율적 호흡 양상]으로 계획 작성했습니다
목차
Ⅰ. 문헌 고찰
Ⅱ. 자료 수집
1. 일반적 사항
2. 과거력
3. 현병력
4. 가족사항
5. 예방접종력
6. 현재 신체상태
7. 사회생활
8. 질환 및 입원에 대한 반응과 적응
9. 신체사정
10. 진단검사
11. 투약
Ⅲ. 간호 과정
1. 자료 수집
2. 간호진단 및 간호목표
3. 간호계획 및 간호수행
4. 간호평가
Ⅳ.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정의 및 증상
세기관지염은 영아 및 24개월 미만인 유아의 하기도에 영향을 미치는 바이러스성 감염이다. 세기관지염은 감기 증상인 콧물, 재채기, 미열 및 기침과 함께 시작된다. 며칠 후 소아가 빠른 호흡, 악화된 기침과 함께 호흡 곤란을 경험한다. 일반적으로 소아는 숨을 내쉴 때 ‘쌕쌕’거리는 소리가 난다. 경우에 따라 영아의 호흡이 빨라지고 울혈로 심하게 막혔지만 영아는 깨어 있고 기분이 좋으며 잘 먹는다. 심할 경우 청색증, 빠른 호흡, 호흡 보조 근육 사용으로 인한 늑간 및 늑간 하부의 함몰, 콧구멍을 벌렁거림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바이러스 감염이 기도 염증을 일으킬 수 있다. 염증은 기도 협착과 폐로 들어가고 나가는 공기 흐름의 폐색을 일으킨다. 중증인 경우, 소아의 혈류 중 산소 수치가 낮다.
3. 진단
병력/신체검사 - 빠른 호흡과 폐의 과팽창, 그리고 흔히 심한 호흡곤란을 보인다.
진단적 검사 - 흉부 X선, 혈액검사
감별진단 - 천식과의 감별
임상소견과 아동의 나이가 중요하다. 아동이 무기폐나 폐렴이 의심되지 않는 한 흉부 방사선 검사 소견은 정상으로 나타날 수 있다.
4. 치료 및 간호
약물치료 – 기관지 확장제, 스테로이드, 항생제, 항바이러스제
비약물치료
증상이 심하지 않은 경우 - 열이 있을 때는 해열제 사용, 가습기, 호흡곤란이 심하지 않으면 수유나 식이를 계속하고 조금씩 자주 먹이기, 상체를 조금 높이고(30~40도) 목을 뒤로 젖히는 자세
참고자료
· 질병관리청 국가건강정보포털/세기관지염/
· https://health.kdca.go.kr/healthinfo/biz/health/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View.do?cntnts_sn=5728
· 약학정보원/의약품검색/의약품 상세정보
· 아동간호학 상, 하/현문사
· Lakhanpaul M, MacFaul R, Werneke U, Armon K, Hemingway P, Stephenson T. An evidence-based guideline for children presenting with acute breathing difficulty. Emerg Med J 2009; 26(12): 850-3.
· Lieberthal AS, Bauchner H, Hall CB, et al. Diagnosis and management of bronchiolitis. Pediatrics 2006; 118(4): 1774-93.
· Zorc JJ, Hall CB. Bronchiolitis: recent evidence on diagnosis and management. Pediatrics 2010; 125(2): 342-9.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