Ⅱ. 본론
1. 제 1단계 : 지역사회 자료수집단계
2. 제 2단계: 지역사회 자료분석 단계
3. 제 3단계: 지역사회 간호진단 단계
4. 제 4단계: 지역사회 간호우선순위 결정 단계
5. 제 5단계: 지역사회 목표설정 단계
6. 제 6단계: 지역사회 간호계획단계(수행계획, 평가계획)
7. 제 7단계: 지역사회 간호수행
Ⅲ. 결론
Ⅳ. 느낀점
본문내용
세계보건기구(WHO),(2022)에 따르면 고혈압은 심각한 건강 상태이며 심장, 뇌, 신장 및 기타 질병의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다. 전 세계적으로 조기 사망의 주요 원인이며 남성 4명 중 1명과 여성 5명 중 1명(10억명 이상)이 고혈압을 가지고 있다. 보건복지부에서 발표한 국민건강영양조사(2021) 결과보고에 의하면 만 30세 이상에서의 고혈압 유병률은 30.4(남자 34.2, 여자 26.9%)이다, 나이에 따라 고혈압 유병률은 증가하게 되는데 고령화 현상을 반영하여 표준화 유병률은 27.7%로, 2007년 대비 4.8p% 증가했다. 또한, 코로나 19가 유행한 2020~2021년에는 고혈압 환자가 연간 52~53만 명 수준으로 늘어나면서, 최근 9년 동안 가장 큰 폭의 증가치를 보였다.
고혈압은 뇌졸중이나 관상동맥질환 등의 심뇌혈관질환의 주요 위험요인이며 혈압이 높아질수록 사망위험이 높아진다. 고혈압 환자의 혈압을 낮추면 고혈압으로 인한 심뇌혈관계 합병증이나 사망이 감소하는 것은 잘 입증되어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고혈압은 증상이 없으므로 혈압을 측정해 보기 전까지는 진단이 되지 않고, 진단이 되더라도 환자 자신이 치료의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최근의 국민건강영양조사(2021) 통계에 따르면 본인이 고혈압 환자라는 것을 알고 있는 인지율은 65.9%, 고혈압 환자임을 알고 치료 받고 있는 비율인 치료율이 61.3%, 실제로 치료 받아 잘 조절되고 있는 환자는 43.8%(유병자 기준)로서 고혈압 관리의 문제점이 여전히 지속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바로 이런 이유로 고혈압을 “침묵의 살인자”라고 부르기도 한다.
통계청(KOSIS)에 따르면 합천군의 연도별 고혈압 진단 경험률은 최근 5년 동안 2018년까지 증가하다가 2019년 감소, 이후 증가하였으며 2021은 전년 36.1% 대비 0.3p% 증가하였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