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화란?
- 미국의 직·간접적 영향력 하에 미국적 가치관, 제도, 문화, 습속, 생활양식 등을 수용 및 모방하려는 사회적 현상 및 현상의 확대 재생산
- 영역별로 다르게 나타나는 미국화
· 김창남, 1998, 『대중문화의 이해』, 한울아카데미.
· 김광억, 1988, 「제2부 한 · 미 문화관계와 매스미디어 ; 미국문화의 한국적 수용과 갈등」, 『한국과 미국』, 경남대학교 극동문제연구소.
· 김덕호, 2005, 「해방 이후 한국에서의 소비와 미국화 문제」, 『 미국학논집』 37권 3호, 한국아메리카학회.
· 박용규, 2014, 「AFKN-TV의 특성과 문화적 영향(1957~1996)」, 『 언론과학연구』 14권, 한국지역언론학회.
· 서대정, 2007, 「미국 대중문화가 한국인의 가치관에 끼친 영향 연구-1950년대 영화와 음악을 중심으로」, 『 현대영화연구』 4권, 한양대학교 현대영화연구소.
· 이선미, 2009, 「1950년대 미국유학 담론과 '대학문화'」, 『 상허학보』25집, 상허학회.
· 김덕호, 원용진 엮음, 2008, 『아메리카나이제이션-해방 이후 한국에서의 미국화』,푸른역사.
· 김덕호,2005, 「해방 이후 한국에서의 소비와 미국화 문제」, 『미국학 논집 37.3』, 한국아메리카학회.
· 김덕호, 2005, 「냉전 초기 코카콜라와 미국 문화산업의 세계화」, 『미국사연구 21』, 한국미국사학회.
· 이행선, 2013, 「해방공간 ‘미국 대리자’의 출현, 조선의 미국화와 책임정치」, 『한국문학연구 45』,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 최수아, 2011, 「한국 복식문화의 근, 현대화 과정에 나타난 미국화의 특성」, 『服飾(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Vol.61 No.3』, 한국복식학회,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