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자료) 정신간호학 - 적응장애, 우울증, 간호과정 2개, 불안과 관련된 자해 위험성, 환경 변화와 관련된 수면 장애, 정신건강간호학, 대학병원 폐쇄병동 임상실습 자료
- 최초 등록일
- 2024.05.22
- 최종 저작일
- 2023.07
- 16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500원
*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소개글
대학병원 폐쇄병동 임상실습 후 A+ 받은 케이스 스터디 자료입니다.
"(A+) 정신간호학 - 적응장애, 우울증, 간호과정 2개, 불안과 관련된 자해 위험성, 환경 변화와 관련된 수면 장애, 정신건강간호학"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적응장애(Adjustment disorder)
1) 정의
2) 원인
3) 증상
4) 진단/검사
5) 치료
6) 경과/합병증
2. 간호사정
1) 일반적 사항
2) 정신과 관련 사항
3) 영역별 사정
4) 가족 사정
3. 간호진단
4. 간호과정
본문내용
정의
경제적 어려움, 신체 질환, 대인관계의 문제에서 비롯되는 스트레스 후에 불안, 우울과 같은 감정적 증상이나 문제 행동을 보이는 경우 적응 장애를 의심 할 수 있다. 증상은 보통 스트레스 후 3개월 이내에 발생하며, 스트레스가 사라진 후 6개월 이내에 증상도 소실된다. 유병률은 일반 인구의 2~8%로 추정되며, 여성이 남성보다 2배 더 많다.
원인
여러가지 요인이 발병에 관여한다. 스트레스의 심각도 외에도 개인의 취약성, 지지 체계, 사회문화적 기준과 가치 등이 스트레스에 대한 반응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스트레스는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반복적이거나 지속적일 수 있다. 집단이나 사회 전체에 가해지는 자연재해나 민족적/사회적/종교적 박해 등도 스트레스를 만들어 적응 장애를 일으킬 수 있으며, 입학, 결혼, 출산 등과 같이 특정 발달 단계와 연관되어 적응장애가 나타날 수도 있다.
증상
어른에게는 우울감, 불안이 나타나는 경우가 많고 어린이와 노인에게는 신체 증상이 흔하지만, 모든 연령 대에서 다양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간혹 공격적인 행동, 과음, 책임 회피, 불면, 식욕 감퇴 등을 보이기도 한다.
진단/검사
진단은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의 진찰과 병력 청취, 질의 응답 과정을 통해 내려진다. 다음과 같은 증상이 나타나면 적응장애로 진단할 수 있다.
<중 략>
치료
정신치료와 약물치료가 가능하다. 정신치료의 경우 개인 및 집단 정신치료가 모두 가능하며, 정신역동적 치료, 인지행동치료, 대인관계치료, 부부 및 가족치료 등 여러 치료 기법이 사용될 수 있다. 스트레스 요인이 지속되는 경우를 제외하면 원칙적으로 단기 정신치료가 적응장애의 심리적 중재로서 가장 적절하다. 적응장애의 약물학적 치료에 대한 근거는 아직 제한적이지만, 최근에는 정신치료의 부가요법으로 약물치료가 널리 이루어지는 추세이다.
경과/합병증
적절한 치료와 중재만 이뤄진다면, 일반적인 적응장애의 예후는 좋은 편이다.
참고 자료
개정 6판 정신건강간호학 상,하 한금선 외 공저, 수문사
국립정신건강센터 격리 및 강박 지침
https://www.google.com/search?q=%EC%A0%95%EC%8B%A0%EA%B3%BC%20%EA%B2%A9%EB%A6%AC%20%EA%B0%95%EB%B0%95%20%EC%A7%80%EC%B9%A8&tbm
한국어판 피츠버그 수면의 질 지수(PSQI-K) 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 검증, 융합정보논문지 2020년, pp.148-155, 신승화, 김수현
신경전달물질 ‘세로토닌’은 잠을 도와줄까? 방해할까?
http://human-research.co.kr/news/view/2293
커피를 마시면 잠이 안 돈다, 상관 없다? 황병일 수면칼럼
http://uberin.mk.co.kr/view.php?year=2017&no=821534
수면에 도움 되는 운동? 이렇게 해보세요! [헬스경향]
https://www.k-health.com/news/articleView.html?idxno=58549
서울아산병원 정신건강이야기 - 불면증과 적정 수면 시간, 정석훈 교수
정신의학신문 자해 충동을 극복하는 방법, 정찬승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http://www.psychiatric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18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