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사회가 변화하고 세계화와 더불어 국제교류가 다양한 방법으로 증가하면서 우리나라는 다른 문화적 배경을 가진 다양한 민족과 인종이 공존하는 다문화 사회로 급속히 변화하고 있다. 다문화 사회로 급속하게 변해가는 우리 사회에서 간호사는 결혼 이주여성과 다문화가족에 대한 관심을 갖지 않을 수 없게 되었다. 앞으로 간호현장은 다문화의 가치와 중요성을 인식한 다문화 간호 수행능력의 중요성은 점점 더 커질 것이다.
우리나라 2020년 다문화가구 수는 367,775명이고 다문화가구 가구원은 1,093,228명, 다문화가구 내국인(출생)수는 678,973명, 다문화가구 내국인(귀화)수는 197,730명이고 다문화가구 결혼 이민자는 173,104명이다. 다문화 혼인 건수는 관련 통계 집계가 시작된 2008년 3만6629건에서 매년 감소세를 보이다가 2016년(2만1709건)부터는 다시 증가세로 전환됐다. 2020년도 경상남도 다문화가구 및 가구원의 수는 다문화 가구 22,044명, 다문화가구원은 69,317명, 다문화가구 내국인 수(출생)는 46,783명, 다문화가구 내국인 수 (귀화) 10,075명, 다문화가구 외국인 수(결혼이민자)는 10,640명이다. (통계청. 2021)
하동군의 경우 다문화 가구는 2019년 354가구에서 2020년에는 355가구로, 총계 1,269명에서 1,281명으로 증가했다. (지역사회 건강통계-하동군. 통계청. 2021)
<경상남도 다문화가구 및 가구원>
KOSIS 인구총조사, 2020
<하동군 다문화가구 및 가구원>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