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사회복지조직의 윤리경영
1/ 기관의 윤리경영 철학 및 전략
2/ 기관의 직원에 대한 윤리성
3/ 기관 및 직원의 클라이언트에 대한 윤리성
4/ 직원의 기관, 동료 및 전문가조직에 대한 윤리성
5/ 기관 및 직원의 기관 관련자에 대한 윤리성
본문내용
1. 윤리경영의 이해
일반적으로 윤리경영은 도덕적 책임 및 도덕적 행위기준에 입각한 조직활동이라고 정의된다. 조직활동에서 윤리를 최우선 가치로 두고, 모든 조직활동을 윤리규범에 기초해 투명하고 공정하고 합리적으로 수행하는 것이다.
기업조직의 윤리경영은 기업의 사회적 책임(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 CSR)의 일환으로서 기업과 기업의 내부 ․ 외부 이해관계자와의 관계를 중시하는 방침으로 이해된다. 즉, 기업의 이해관계자인 고객, 주주, 협력업체, 지역사회 등 모두의 발전을 도모해 지속 가능한 기업이 되려는 것이다. 이를 통해 기업의 경제적 ․ 사회적 ․ 환경적 책임을 전략적으로 활용해 경쟁우위를 창출하고자 한다. 일반적으로 윤리경영의 요소에는 3C가 포함된다.
1/ 윤리강령(code of conduct) : 조직구성원들의 행동지침인 조직의 윤리강령을 구체적이고 성문화된 형태로 제시한다.
2/ 감독조직(compliance check organization) : 윤리경영을 실현하기 위한 조직과 제도를 구비한다(윤리경영 전담부서 및 임원, 내부고발 및 보고 시스템, 감사 및 평가 시스템 등)
3/ 윤리교육(consensus by ethics education) : 기관의 윤리를 준수하기 위해 반복적이고 일상적인 교육을 제공한다.
2. 사회복지조직의 윤리경영
2000년대 중반 이후 사회복지조직들 사이에서는 윤리경영 및 투명성 제고를 위한 자발적인 노력이 전개돼 왔다. 2006년에는 사회복지단체와 보건복지부 간에 사회복지 분야 투명사회협약이 체결돼 2007년부터 본격적인 활동에 들어갔다. 이 협약 제26조(사회복지 윤리강령 준수)는 사회복지 관련 단체와 사회복지시설이 자발적인 윤리경영과 투명성 제고를 위해 윤리강령을 준수하도록 하고 있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