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시티 이벤트
  • LF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A+보장/성적인증>보건교육계획서 당뇨관리 /보건교육, 지역사회간호학

음뽀챠무
개인인증판매자스토어
최초 등록일
2024.05.13
최종 저작일
2022.05
12페이지/한글파일 한컴오피스
가격 2,0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소개글

성적 및 석차를 문서 내에 올려두었습니다. 4년 내내 전공과목에서 A 이하 성적을 받은 적이 없을 만큼, 보고서 퀄리티 하나는 자신있게 보장합니다!

이 보고서는 팀원들과 교수님 추천으로 학교 대회에 참가하여 수상한 보건교육안입니다.
당뇨관리에 관련된 보건교육 계획서를 찾고 있다면 참고하기 좋을 것입니다.

목차

1. 주제
2. 주제 선정 이유
3. 목적과 목표
4. 지도 시 유의점
5. 교육방법
6. 보건교육안
7.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주제
- 65세 이상 노인 당뇨병 관리교육

2. 주제 선정 이유
당뇨병은 지난 20년간 우리나라 노인의 사망원인 4~5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무릎관절증 및 기타척추병증과 함께 2019년 노인의 입원 및 외래 다빈도 상병 15위 이내에모두 포함된 질병이다. 당뇨병이 있는 노인은 조기사망, 기능장애, 동반질환(고혈압, 뇌졸중, 만성심장병)의 확률이 당뇨병이 없는 노인에 비하여 높으며, 다약제복용, 우울, 인지장애, 요실금, 낙상으로 인한 손상, 지속적 통증과 같은 노인증후군(geriatric syndrome)의 위험 역시 높게 나타나고 있다(장선주, 2020).
「kosis 최근 1년간 만성질환 경험 (2022)」에 따르면 전국 65세 이상 노인의 인구수는 9,146,396명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kosis 최근 1년간 만성질환 경험(2021)」에 따르면 60세 이상 연령층에서 당뇨병 경험이 21.9%로 다른 연령층에 비해 매우 높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다. 성별에 따른 당뇨 유병률은 남성 23.9%, 여성 24.4%로 성별에 따른 차이는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표1」 고령인구비율(2022)

「표2」 최근 1년간 만성질환 경험(2021)

「표3」 성별에 따른 당뇨병 유병률(2020)

당뇨병을 진단받은 노인 중에서 약 80%가 혈당강하제를 복용하거나 인슐린 주사를 투여하고 있지만, 이들 중에서 약 30%만이 당화혈색소를 적정수준으로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통계청, 2018). 이는 약물 복용에도 불구하고 노인들의 당뇨병 관리가 적절히 이루어지지 않음을 보여주고 있으며, 당뇨병은 적절히 관리하지 않으면 당뇨병 합병증과 관련된 장애가 발생할 수 있고 이로 인한 의료이용이 증가할 수 있다.
특히 65세 이상 고령층에서 당뇨병성 만성합병증의 유병률이 높았으며, 평균 1.54개의 당뇨병성 만성합병증을 동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당뇨병 환자는 만성합병증을 동반하지 않는 당뇨병 환자보다 낮은 삶의 질이 보고되었다.
당뇨병성 만성합병증이 발생한 환자 중 19.8~33.7%는 당뇨병 진단 후 4년 이내에 합병증을 진단받은 것으로 나타나, 당뇨병성 합병증 예방을 위해 당뇨병 진단 시기부터 노년기까지 꾸준한 관리가 필요하다(국민건강보험공단, 2022)

참고 자료

국가건강정보포털. 노인 당뇨병. (2021, January 13). Retrieved July 24, 2022, from https://health.kdca.go.kr/healthinfo/biz/health/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View.do
김소미, 황태윤, 나민아, 이경수 & 염석현. (2017). 일개 종합병원에서의 치료 미순응 노인 당뇨병 환자의 자가관리 실태. 농촌의학.지역보건, 42(4), 226-233.
김수현, & 임예지. (2020). 당뇨병 노인의 건강행위 실천과 응급실 내원 간의 관련성. 디지털융복합연구, 19(11), 595–606.
병원간호사회. (n.d.). 당뇨병. Retrieved July 24, 2022, from http://www.khna.or.kr/homecare_new/07_endoc/diabetes01.php
보건복지가족부한국건강증진개발원. (n.d.). 당뇨병관리 교육 매뉴얼. Retrieved July 24, 2022, from http://www.khna.or.kr/homecare_new/07_endoc/diabetes01.php
보건복지부. (n.d.). 노인의 성별 만성질병 종류별 유병률(의사진단 기준) 및 현 치료율. 노인실태조사(2011~2020). https://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17&tblId=DT_117071_018&conn_path=I2
서울:질병관리청. (2021, January 13). 국가건강정보포털. 고혈당. Retrieved July 24, 2022, from https://health.kdca.go.kr/healthinfo/biz/health/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View.do
서울대학교병원. (n.d.). 저혈당증[Hypoglycemia]. Retrieved July 26, 2022, from http://www.snuh.org/health/nMedInfo/nView.do?category=DIS&medid=AA000466
송경애. (2021). 기본간호 중재와 술기. 수문사.
유지후. (2022, May 26). 혈당이 너무 높다는 미묘한 신호 5가지. Retrieved July 26, 2022, from http://www.snuh.org/health/nMedInfo/nView.do?category=DIS&medid=AA000466
이해정, 이미순, 박가은, & 강아름. (2022). 제2형 당뇨병 환자의 당뇨병성 만성합병증 발생과 동반 합병증 개수 관련 요인: 2002~2015년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검진 자료 활용. 노인간호학회지, 24(4). https://doi.org/https://www.jkgn.org/journal/view.php?doi=10.17079/jkgn.2022.24.1.22
중앙응급의료센터. (n.d.). 중요질환 응급 증상-당뇨병. Retrieved July 26, 2022, from https://www.e-gen.or.kr/egen/emergency_symptom.do?contentsno=46
Kosis 국가통계포털, 2018년, 2021년, 2022년, 당뇨병 합병증 현황
음뽀챠무
판매자 유형Gold개인인증

주의사항

저작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lt;A+보장/성적인증&gt;보건교육계획서 당뇨관리 /보건교육, 지역사회간호학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03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11 오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