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소개글
제주 지역 방언 조사 결과 보고서
청년층 여성 1인, 중년층 여성 1인, 노년층 여성 1인을 직접 면담해 세대별 방언 차이를 조사한 레포트입니다. 구술 발화 조사와 명명법 조사 두가지를 진행했으며, 선정한 체언과 용언, 추가로 아래아를 연구했습니다.
목차
I. 조사 지역 특성
1. 자연 환경적, 인문적 특성
2. 언어적 특성
II. 제보자 특성
1. 청년층 여성
2. 중년층 여성
3. 노년층 여성
III. 질문지 구성
1. 구술 발화 조사
2. 명명법 조사
IV. 조사 항목 선정
1. 체언
2. 용언
3. 기타 항목
V. 조사 진행 과정
VI. 조사 결과와 특성
1. 구술 발화 조사
2. 명명법 조사
VII. 기타 특이 사항 및 발견 사항
1. ㆍ(아래아), ㆍㆍ(쌍아래아) 지각 조사
VIII. 참고문헌
본문내용
제주도에서 감자는 ‘지슬’이고, 고구마는 ‘감저’이다. 한자어도 역시 감저(甘藷)가 ‘고구마’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고구마가 우리나라에 들어온 것은 1760년경이고, 감자는 그보다 60년 늦은 1824년~1825년경에 들어왔다. 고구마를 먼저 ‘감저’라고 부르다가 새로 감자가 들어오면서 ‘지슬’이라는 명칭이 붙게 된 것이다. 청년층은 고구마의 방언형과 착각해 감자의 방언형인 ‘지슬’ 대신 ‘감저’라고 답했으나, 들어본 적이 있다고 답했다. 별개로 제주도에서 ‘지슬’이라는 이름의 독립영화가 개봉한 적이 있었다. 제주의 아픈 역사인 4.3사건을 배경으로 한 영화로 대사가 제주 방언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배우들 역시 감독 주변의 제주도 이웃이다. 독립영화인데도 누적 관객 수 14만 명으로 기대이상의 흥행을 이뤘으며, 특히나 제주도의 중학교, 고등학교에서 역사 교육이나 언어 교육용으로 많이 사용하였다. ‘지슬’과 동명인 영화의 개봉과 흥행이 방언의 인지도에 영향을 주었을 것이다.
<중 략>
ㆍ(아래아), ㆍㆍ(쌍아래아) 지각 조사는 피험자들이 두 자극을 듣고 같은 소리인지 다른 소리인지를 판단해 같으면 왼쪽 손을, 다르면 오른쪽 손을 들도록 하는 실험이다. 다르다고 대답을 했을 시에 어떤 단어를 아래아 혹은 쌍아래아 발음으로 인식했는지 확인하고 싶었으나, 80대 노년층 화자가 ‘ㆍ’와 ‘ㆍㆍ’의 명칭과 표기법을 접해 보지 못한 관계로 생략하였다. 아래아 검사 항목 ‘ᄆᆞ을, , , ᄑᆞ리’와 쌍아래아 검사 항목 ‘ᄋᆢ덜, ᄋᆢ든, ᄋᆢ남은, ᄋᆢ름’ 각각 4개 씩 총 8개로 구성되어 있다. 이를 제외하고 ‘ᄑᆞ리/ᄑᆞ리’, ‘달/달’, ‘슴/슴’, ‘ᄋᆢ망지다/ᄋᆢ망지다’ 같은 단어 4쌍을 제시했다.
참고 자료
성주현. (2009). 리틀 탐험대, 전국 일주에 도전하라-한국지리. 휴이넘.
양대승. (2009). 지도로 배우는 『우리나라 우리고장』 '충청, 전라, 제주'. 주니어랜덤.
신정일. (2012). 신정일의 새로 쓰는 택리지 7: 제주도. 다음생각
이응백·김원경·김선풍. (1998). 국어국문학자료사전. 한국사전연구사.
김순자. (2012). 제주도 부속 섬 방언의 어휘 비교 연구-우도ㆍ비양도ㆍ가파도를 대상으로. 영주어문, 23, 207-240.
우창현. (2007). 제주방언 보조용언의 문법 범주와 의미 해석: AM (Aspect-Modality) 범주 설정을 중심으로. 어문학, 97, 43-62.
김원보. (2005). 제주방언 이중모음의 음향분석. 음성과학, 12(2), 29-41.
김원보. (2012). 제주방언의 어휘 분화현상. 언어학연구, 17(1), 1-11.
신우봉. (2016). 제주 방언 단모음의 산출과 지각 양상 연구-50 대 화자를 중심으로. 어문논집, (77), 147-1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