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서론 : 태아기 정의 및 사회복지 실천 대상
1. 태아기의 정의
2. 사회복지 실천 대상으로써의 태아기 문제
Ⅱ. 본론 : 태아기 아버지의 생산적 역할
1. 산모의 태내 환경 관리
2. 임신기간에 대한 적극적 참여
3. 태아의 시기별 아버지의 지원
Ⅲ. 결론 : 실천사례 및 의견
1. 사회복지 실천사례(복지로 129 콜센터 우수 사례 : 미성년자 혼전 임신)
2. 사회복지 실천사례 개입
3. 의견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태아기란 태내에서 이루어지는 발달 과정 중 가장 마지막 단계로써 정자와 난자의 수정이 이루어 진 후 9주에서부터 출생(약 38주)에 이르는 가장 긴 시기이다. 태아는 태어기를 거치면서 몸집은 더욱 커지며 신체 시스템의 기능이 시작되게 된다. 태아기 초기의 경우 체중은 30g이 채 되지 않지만 4개월 경 부터는 체중이 4~8배로 불어나기 시작하며 이 때부터 산모는 태아가 움직이는 것을 느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태아 또한 산모의 배 안에서 다양한 신호 감각이 작용하며 여러 감각정험을 시작하는데, 어머니의 심장 박동 소리와 음식을 소화시키는 소리를 들을 수 있고(Lecanuet, GranierDeferre, & Busnel, 1995) 맛을 느끼거나(Menella, Jagnow, & Beauchamp,2001) 음악을 들으며 멜로디를 기억하기도 한다.
참고자료
· 이선미, 「임신기 부모의 부모 효능감과 양육지식에 관한 연구」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2006
· 중앙건강가정지원센터 홈페이지 http://www.familynet.or.kr/
· 양경미, 김순례, 「태교 프로그램이 초임 부부의 부모-태아 애착과 부모의 정체성에 미치는 효과」대한간호학회지 제 40권, 2010
· 강민성, 「핵심감정상담의 태아기 재경험기법에서 내담자의 교정적 정서경험에 대한 질적 분석」창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 보건복지부 배포자료 「아빠 덕분에 더 넓은 세상을 배웁니다」2014.12
· 보건복지부 복지ro 우수사례집 3편
· http://www.bokjiro.go.kr/img/longdesc/AC/service02/datasid_5657042.html
· 통계청 「2015 일·가정 양립 지표」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