척추관협착증 간호진단(5개), 간호과정(3개)_통증, 피부손상위험성, 수면장애
- 최초 등록일
- 2024.05.11
- 최종 저작일
- 2023.09
- 17페이지/ 한글표준문서
- 가격 2,500원
*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 본 문서는 한글표준문서(*.hwpx)로 작성되었습니다.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소개글
"척추관협착증 간호진단(5개), 간호과정(3개)_통증, 피부손상위험성, 수면장애"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Ⅰ. 대상자 입원 정보
Ⅱ. 문헌고찰
1) 정의
2) 원인
3) 병태생리
4) 증상
5) 진단검사
6) 치료
7) 간호
Ⅲ. 간호사정
1) 입원관련 정보
2) 건강상태 사정
3) 진단검사
4) 약물치료
5) 통증상태 사정도구
6) 욕창사정도구
7) 낙상위험사정도구
Ⅳ. 간호과정
1) 간호진단 목록
2) 간호과정
① 척추관 손상과 관련된 급성통증
② 제한된 움직임과 관련된 피부 손상 위험
③ 환경변화와 관련된 수면장애
Ⅴ.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정의
: 어떤 원인으로 척추 중앙의 척추관, 신경근관 또는 추간공이 좁아져서 허리의 통증을 유발하거나 다리에 여러 복합적인 신경증세를 일으키는 질환을 말한다.
(2) 원인
① 선천성: 요추관이 선척적으로 좁게 태어난 경우, 퇴행성 변화가 시작되는 30대 이상이 되면 뻐와 인대의 변성으로 발생한다.
② 척추의 퇴행성 골관절염: 가장 흔한 원인이며, 인대와 관절이 두꺼워지고, 디스크도 튀어나와서 신경이 차지하고 있는 공간이 좁아져 발생한다.
③ 기타: 이 밖에 척추 전방전위증, 수술 후 합병증, 골절 이후 비정상적인 유합 등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3) 병태생리
: 척추의 뼈와 뼈 사이에 있는 탄력적인 추간 조직을 추간판 즉 디스크라고 하는데, 내부는 부드러운 수핵으로 되어있으며 겉은 단단한 섬유륜으로 싸여있다. 보통 30세 이후부터 퇴행성 변화가 시작되어 이로 인해 추간판이 척추에 부착된 부위가 떨어져 골극(가시 모양으로 뼈가 튀어나온 모습)이 형성된다. 추간판뿐만 아니라 후관절 돌기, 추궁, 황색인대 등에서도 변성이 오며, 척추관 전후, 좌우 사방이 좁아지게 되면서 척수와 신경근을 누르게 되어 혈류 장애를 일으켜 증상을 나타낸다. 이러한 퇴행성 척추관 협착증은 운동량이 많은 요추와 경추에 많이 발생한다.
(4) 증상
: 요추관 협착증일 경우는 허리 통증이 가장 빈번하게 나타나며, 엉덩이나 항문 쪽으로 찌르는 듯한 통증과 쥐어짜는 듯한 통증과 함께 다리의 감각 장애와 근력 저하가 동반된다. 이러한 증상이 자주 나타나고 심해지면, 허리를 구부리거나 앞으로 숙일 때, 누워서 휴식을 취하면 사라지는 특징이 있다.(간헐적 파행) 계속 방치하면 하반신 마비가 나타나기도 한다.
(5) 진단검사
: 먼저 문진으로 보행 시 얼마나 걸으면 아픈지 묻고 일상생활의 불편감이나 통증의 특징을 알아본다. 단순 엑스레이 촬영, 근전도 검사, 척추 전산화 단층 촬영과 MRI 촬영 등으로 진단한다.
참고 자료
최신 기본간호학 Ⅰ,Ⅱ _수문사
간호사를 위한 진단검사_수문사
성인간호학 Ⅱ _ 수문사
약학정보원(약물치료)
서울아산병원 질환백과(척추관 협착증)
https://www.amc.seoul.kr/asan/mobile/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571
서울대학교병원 N 의학정보(척추관 협착증)
http://www.snuh.org/health/nMedInfo/nView.do?category=DIS&medid=AA000149
정동병원(척추관 협착증)
https://www.jungdonghospital.com/spine/waist/page03.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