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소개글
"간호학과 아동간호학 미숙아 CASESTUDY"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문헌고찰
: 정의, 원인, 병태생리, 진단 및 증상, 치료 및 간호
2. 임상병리 진단검사 결과에 대한 해석
3. 간호진단
4. 간호과정
5. 참고문헌
본문내용
. 문헌고찰
1) 정의
조산아(preterm infant) 혹은 미숙아(premature infant)란, 출생체중에 관계없이 재태연령 37주 미만(36주 6일까지 해당)에 출생한 신생아를 의미한다. 출생체중에 따라 저출생체중아(low birth weight infant, LBW; 2,500g 미만), 극소저출생체중아(very low birth weight infant, VLBW; 1,500g 미만), 초극소저출생체중아(extremely low birth weight infant, ELBW; 1,000g 미만)로 분류한다. 대개 2,500g 이하인 저출생체중아의 2/3는 미숙아이지만, 만삭아도 저체중아일 경우가 있다.
2) 원인
미숙아 출생원인 중 태아측 위험인자로는 태아 스트레스, 다태아, 비면역성 태아수종, 감염이 있고, 모체측 위험인자로는 사회경제적으로 낮은 계층, 16세 미만이나 35세 이상인 여성, 다태아(multiple-gestation births), 조산의 기왕력, 산과적 결함(전기파수, 태반 기능부전, 전치태반, 태반조기박리, 쌍각자궁, 자궁과 도신장, 경관무력증), 임신성 고혈압즈후군, 임신 당뇨병, 모체 전신감염, 부적당한 임신 중 체중 증가, 영양장애, 약물, 흡연, 알코올 중독 등이 원인이 된다. 이밖에도 산과적 진단과 치료기술의 향상으로 인해 임신 합병증의 치료 목적으로 조기에 분만을 유도하는 경우가 많아졌고, 불임치료기술의 발달로 다태아의 임신이 늘면서 조산의 경우가 늘어났다고 추정해볼 수 있다.
3) 병태생리
1. 체온조절
미숙아는 만삭아에 비해 체온을 조절하는 능력이 약하여 저체온에 빠지기 쉽다. 이는 체중에 비해 체표면적이 넓고 피부가 얇으며 피하지방이 적어 열을 보유할 수 있는 능력이 낮아 열소비가 많은 반면, 갈색지방이 적고 영양부족, 폐의 미성숙으로 인한 산소공급 부족 등으로 열생산은 적기 때문이다. 또한, 땀을 내는 기전이 미숙하여 열발산이 안 되므로 쉽게 고체온에 빠질 수 있다.
<중 략>
간호진단
1. 신체적 문제
위 잔여물의 증가와 관련된 위장관운동 기능장애
간호과정
1. 위 잔여물의 증가와 관련된 위장관운동 기능장애
1) 계획: gavage feeding 후 위 잔여량을 측정한다.
수행: gavage feeding 후 위 잔여량을 측정했다.
위의 잔여량을 측정하여 소화능력, 속도를 관찰하고 위의 과팽창을 예방할 수 있다.
참고 자료
아동간호학 2판 (2018) 학지사메디컬 P. 230~248
‘아동1_2021_강의록(1주-7주)’ P. 242~243
비판적 사고에 기반한 간호과정(2019) 고문사
‘아동1_2021_강의록(1주-7주)’ P. 357~361
아동간호학 2판 (2018) 학지사메디컬 P. 241
‘아동1_2021_강의록(9주-14주)’ P.35
아동간호학 2판 (2018) 학지사메디컬 P. 246~257
아동간호학 2판 (2018) 학지사메디컬 P. 250~251
‘아동1_2021_강의록(9주-14주)’ P. 45~47
최효신, 신영희. (2013) 계명대학교 동산의료원.
‘미숙아 어머니를 위한 체계적인 정보제공이 모아애착, 양육스트레스, 양육자신감에 미치는 효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