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민주화 운동이 이후 광주의 정치지형에 준 영향
- 최초 등록일
- 2024.05.06
- 최종 저작일
- 2024.05
- 7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500원
*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소개글
"광주 민주화 운동이 이후 광주의 정치지형에 준 영향"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5·18 광주 민주화 운동의 배경과 원인
(2) 5·18 광주민주화운동의 발생과 시민세력의 대응
(3) 광주지역 사회운동세력의 헤게모니 변화
(4) 5․18성역화와 광주시민연대 설립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5·18 광주민주화 운동은 1980년 5월 18일부터 동월 27일까지 광주·전남등의 일부 지역에서 국민들이 국가적 폭력에 대항하여 발생한 역사적 사건이다. 특히 21일 오후 1시 이후에 계엄군이 집단으로 시위대에 발포하자 광주 시민들은 인근 지역의 예비군 무기고에서 총기를 꺼내와서 무장하고 계엄군에 대항하였다. 광주 시민들의 강력한 저항으로 인해 일단 광주 외곽으로 후퇴한 계엄군이 27일 새벽에 이른바 ‘상무충정작전’을 펼친 끝에 5월의 항쟁은 끝이 났으나 이후로 현대사에 있어 가장 민감하고 역사적인 사건이 되었다. 20세기에 들어와서 거의 처음으로 국민들이 무장을 하고 부당한 국가권력에 저항했던 사건이었으므로 한국현대사에 미친 그 영향이 지대하다 하겠다. 이후 우여곡절 끝에 진상이 밝혀져 당해 정부는 5월 18일을 ‘국가기념일’로 지정하고 일부 관련자들을 처벌하였고, 2011년에는 해당 기록물의 가치를 인정받고 이에 유네스코(UNESCO)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되기도 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계속적으로 5·18 광주민주화운동을 왜곡하고 폄하하려는 조직적 시도가 전개되고 있는데, 그 대표적 주장 중에 하나가‘북한군 특수부대 침투설이다. 마치‘북괴 남침설’을 표명하며 비상계엄을 전국으로 확대하여 그들의 쿠테타를 완성하고 이에 5·18 광주민주화운동을 ‘내란’ 혹은‘폭동’으로 규정한 신군부의 억지 논리가 재생산된 것이다.
참고 자료
김주삼(2021),부마항쟁발발의 환경적 요인과 시민의식 : 부마항쟁과 5.18광주민주화운동을 중심으로,한국국회학회
김찬호(2018),‘5ㆍ18세계화’담론 형성과 변화 과정- 1990년대 광주시민연대 사례를 중심으로,전남대학교 석사논문
김희송(2009),시민운동의 형성과 제도화에 관한 연구- 광주지역 시민운동을 중심으로,전남대학교 박사논문
김혜란(2016),5 · 18 광주민주화운동 기록 연구,한남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박지욱(2009),5ㆍ18광주민주화운동 기념행사의 문제점과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조선대학교 석사논문
정철희(2000),광주민주화운동에 대한 사회운동론적 접근과 비교연구,한구사회조사연구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