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미리보기
소개
"건강사정 실습 검사방법 대본 기록방법 "에 대한 내용입니다.
검사방법과 정상소견의 대사를 상세하고 정확하게 작성하였고, 검진결과 기록하는 내용도 구체적으로 작성하여 실습할때 유용하게 활용하였습니다.
목차
1. 제 9장. 심혈관계~맥관계
2. 제 11장. 복 부
3. 제 12장. 신경계
본문내용
청진
12
대상자를 똑바로 눕힌 상태에서 전흉부 전체를 청진한다.
- 심음청진 부위
● 승모판 부위는 제 5늑간과 좌측 중앙 쇄골선이 만나는 부위
● 삼천판 부위는 좌측 제4늑간과 중앙 흉골선이 만나는 부위
● 대동맥판 부위는 우측 흉골 가까이의 우측 제2늑간
● 폐동맥판 부위는 좌측 흉골 가까이의 좌측 제2늑간
간호사: 전흉부 청진하겠습니다. 바로 누워주세요.
1. 심음 청진(승모판, 삼천판, 대동맥판, 폐동맥 판막)
승모판은 5늑간과 중앙쇄골선이 만나는 부위, 삼첨판은 5늑간과 좌측 흉골가까이, 대동맥판막은 2늑간과 우측 흉골가까이, 폐동맥판막은 2늑간과 좌측 흉골가까이에서 청진되므로 정상입니다.
<중 략>
타진
11
우측 상복부로부터 시작하여 전체 복부를 체계적으로 타진하여 고창음을 확인한다.
간호사: 복부내용물의 밀도를 살펴보기 위해 타진해보겠습니다. (RUQ,LUQ,LLQ,RLQ)전반적으로 고창음이 더 많이 들리므로 정상입니다
12
간을 타진하여 간의 위치와 크기를 확인한다.
- 우측 쇄골중앙선의 제4늑간, 즉 폐의 공명음 부위에서부터 시작하여 둔탁음으로 변화되는 지점(제5~7늑간 주변)까지 아래로 타진하고 둔탁음이 시작되는 지점에 펜으로 표시를 한다.
- 제대 높이와 우측 중앙쇄골선이 만나는 위치에서부터 위를 향해 타진해 올라가 고장음이 둔탁음으로 변하는 지점을 확인하고 펜으로 표시를 한다.
- 표시한 두 지점을 연결하여 자로 거리를 측정한다.(정상:6~12cm)
간호사:간의 위치와 크기를 알아보기 위한 검사를 하겠습니다.(둔탁음 나오는 5늑간까지 아래로 타진후 테이프 붙이기, 고창음에서 둔탁음으로 바뀌는 우측늑골연까지 위로 타진후 테이프 붙이기)
간호사: 간은 제5늑간에서부터 우측늑골연까지에 존재하며 크기는 6~12CM사이(실제 사이즈)이므로 정상입니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