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간호학 활력징후의 모든 것
- 최초 등록일
- 2024.04.24
- 최종 저작일
- 2021.07
- 26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소개글
"기본간호학 활력징후의 모든 것"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활력징후와 관련한 용어 정리
1) 체온
2) 맥박
3) 호흡
4) 혈압
2. 활력징후 별 영향을 미치는 요인
1) 체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2) 맥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3) 호흡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4) 혈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3. 활력징후 사정 방법
1) 체온 사정
2) 맥박 측정
3) 호흡측정 방법
4) 혈압 측정 방법
4. 활력징후 사정을 위한 기구
1) 체온계
5. 활력징후 별 연령에 따른 정상 범위
본문내용
1. 활력징후와 관련한 용어 정리
활력징후: 체온, 맥박, 호흡, 혈압에서 나타나는 신체기능 변화의 기전
1) 체온
체온: 신체 내부의 온도
: 인체의 열 생산과 소실 사이의 균형을 나타내는 것
중심체온(심부체온): 두개골, 흉곽, 복강, 골반강과 같은 인체의 심부조직의 온도
표면체온: 피부, 피하조직, 지방의 온도
도(℃): 체온을 잴 때 열의 측정 단위
하루주기리듬: 약 24시간(한 개인의 생체 시계) 내에 발생하는 정신적, 육체적 상태의 규칙적 변화
체온을 측정하는 부위: 구강, 직장, 액와, 고막, 이마
액와: 신생아들의 체온을 측정하기 위한 우선적인 부위
설하부위: 체온 측정 시에 주로 사용하는 부위
<중 략>
4) 혈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① 일회 박출량
심장에서 박출되는 혈액량이 증가하면 혈압은 상승한다. 반대로 심장으로부터의 박출량이 감소되면 혈압이 하강한다.
② 말초혈관 저항
혈관의 직경이 작을수록 혈류에 대한 말초혈관 저항은 더 커진다. 반대로 혈관이 이완되고 혈관저항이 떨어지면 혈압도 떨어진다.
③ 순환혈액량
성인은 5000mL의 순환혈량을 가지지만 혈액량이 증가하면 동맥벽 내에 더 많은 압력이 발생한다. 정맥 내로 수액을 빠른 속도로 주입하면 현저히 혈압이 올라가고 출혈이나 탈수로 순환혈액량이 저하되면 혈압이 떨어진다.
④ 혈액점도
혈액의 점도가 높아지면 작은 혈관을 통하여 흐르는 것이 어려워진다. Hematocrit이 올라가고 혈류가 느려지면 심장이 심박출량을 유지하는데 있어 동맥계통 내에 압력이 형성된다.
⑤ 동맥의 탄력성
탄력성이 감소되면 혈류에 대한 저항이 커진다. 그 결과 좌심실이 박출량을 방출할 때 굳어진 동맥벽을 강한 힘으로 통과하게 되므로 혈압이 상승한다.
-동맥경화증: 혈관벽의 탄력성이 상실되고 섬유조직으로 대치된다.
⑥ 나이
성장하면서 혈압은 상승되며 나이에 따라 혈압의 정상치는 다르다.
참고 자료
https://www.msdmanuals.com. 하루주기 리듬 수면 장애.
작성자: Richard J. Schwab , MD, University of Pennsylvania, Division of Sleep Medicine. 2020년 6월 3일.
Hong, Soon Tak. (1994). The Effects of Music Therapy on Vital Sign Changes of Operational 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4(3), 377-388.
체온 측정법 아동 및 성인 How to Take a Temperature Children and Adults. HealthLinkBC. Korean(앨버타 주 보건주의 승인) - Number 99 March 2018.
신윤희, 정승교, 김현주. (2019). 기본간호학 교과서 표준화작업을 위한 기초조사 I: 활력징후, 체온유지, 산소화요구. 기본간호학회지, 26(4), 282-300.
http://amc.seoul.kr/asan/. 서울아산병원. 의료정보-검사/시술/수술정보
EBN 기본간호학 1. 송영신 서길희 김선애 강희영 백설향 강영미 김선애 김묘경 신용순 장현숙 권명진 권연숙 김서인 김영숙 박선아 서가원 오은영 유혜순 장애경 전미경 외 공저. 수문사. 2021년 3월 9일
실습지침서. 박현주교수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