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일반정보
Ⅱ. 병력
Ⅲ. 질병기술
IV. 신체검진
Ⅴ. 임상소견 및 진단검사
Ⅵ. 참고문헌
본문내용
당뇨병성 족부 질환 [당뇨 발(DM Foot)]
원인
당뇨병을 앓고 있는 환자의 발에 생기는 신경병, 구조적 변형, 피부 못, 피부와 조갑의 변화, 발의 궤양, 감염, 혈관 질환 등을 통칭한다. 당뇨병성 족부 질환이 진행되면 작은 상처도 낫지 않고 궤양이 되고, 심하면 혈액 순환이 되지 않아 까맣게 썩게 된다.
당뇨병을 가진 환자의 약 15%가 일생 동안 한 번 이상은 발 궤양을 앓게 되며, 그 중 1~3% 정도의 환자가 다리 일부를 절단하는 수술을 받는다. 당뇨병으로 인한 발 궤양을 한 번 앓고 나면 재발하는 경우가 흔하여 1년 내에 약 30%의 환자가 재발을 경험한다.
당뇨가 동반된 말초 혈관 질환자는 발에 상처가 생기면 원활 하지 않은 혈액순환으로 인해 상처가 잘 낫지 않기 때문에 평소에 잘 관리해서 상처가 생기지 않도록 해야 한다.
상처가 생겼을 경우 조기에 치료를 해서 발가락이나 다리를 절단하는 일이 생기지 않도록 해야 한다.
병태생리
당뇨병으로 인한 변화는 1)신경병증 2)혈관병증으로 구분한다.
1) 신경병증
신경은 운동신경, 감각신경, 자율신경으로 이루어져있다.
-운동 신경의 손상
관절의 유연성과 아킬레스건이 짧게 줄어들면서 발의 압력이 일정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발바닥 굳은살이 생기고 이에 족부 궤양이 생겨 당뇨발이 생길 수 있다.
또한 발의 작은 근육들의 작용에 문제가 생겨 발 모양이 변하게 된다.
-감각 신경의 손상
통각이 감소하여 조기 발견이 늦어진다.
발에 상처가 생기기 쉽고 상처를 발견하는 것이 늦어지게 된다.
-자율 신경의 손상
발의 땀 분비가 억제되어 발이 건조해지는데 이때 갈라진 피부로 세균이 침투할 수 있는 원인이 될 수 있다.
2) 혈관 병증
말초 동맥 질환과 혈관 장애가 있다.
혈관 속의 당 증가로 인해 혈관 벽이 좁아지게 되면 심장에서 먼 발은 혈액 공급을 원활하게 받지 못한다.
참고자료
· 국가건강정보포털
· 대한정형외과학회
· 서울아산병원 의료정보
· 서울아산병원 의료정보
· 세브란스 병원 질환백과
· 당뇨발의 진단 및 치료, 2018, 부산 성모병원 내과 이창원, 대한당뇨병 학회
· 보건복지부 지정 2형 당뇨병 임상연구 센터 당뇨발 병변 진료지침
· 드럭인포
· 약학정보원
· 성인간호학Ⅱ -수문사
· 기본간호학Ⅱ-수문사
· 기본간호학 실습 지침서Ⅲ -선문대학교
· 대한 진단검사의학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