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부정적 자기인식 및 대인관계 스트레스와 관련된 극복력 향상을 의한 준비" 간호진단 1개, 간호과정 1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주관적/ 객관적 자료(징후, 증상 또는 행동특성)
“장점이 없어요... 어려워요” “자신이 없어요..” “저는 못해요..”
“선생님, 저는 제가 살아야 하는 이유를 모르겠어요”
“(과호흡 상태에서 진정이 된 후, 눈물을 흘리며) 트라우마를 계속 안고 살아갈 생각을 하니까 너무 무서워요.”
“(대인관계 이야기를 하던 상황에서) 저 여기(대안학교) 합격 못하면 인문계 고등학교 가야되는데 거기 가면 적응 못하고 자퇴할 것 같아요”
· 김경희 외. (2023). 정신건강간호학I. 제 7판. 186-267
· Chamberlain, J. M., & Haaga, D. A. F. (2001b). Unconditionalself-acceptance and Responses to Negative Feedback. Journal of Rational Emotive and Cognitive Behavior Therapy, 19, 177-189.
· 김희진 and 김수연. (2016). 통합학급 차원의 장점찾기 중재가 학급응집력 및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발달장애연구, 20(2), 107-127.
· 조혜민. (2021). 여자대학생의 무조건적 자기수용이 대인관계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긍정적 재초점과 긍정적 재평가의 매개효과. 청주 :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1-72.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