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본 문서는 한글표준문서(*.hwpx)로 작성되었습니다.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미리보기
소개
"제세동기 defibrillator 사용법, 제세동, 심율동전환, defibrillation, cardioversion"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니혼코덴 NIHON KOHDEN 장비 구성
2. 심장제세동기란
3. defibrillation, cardioversion 의 차이
4. Nihon kohden 사용자 점검
5. Defibrillation 순서
6. Cardioversion 순서
7. 자동제세동(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방법
8. 체외심박동조율(External pacemaker) 방법
- lead 변경, EKG 크기 변경, Event strip 출력, Freeze button, 가이드
AC lamp, battery charging lamp, 알람정지 버튼, strip 출력버튼
5) paddle 각 2개(성인, 소아)
- shock button, charge button
6) accessary
2. 심장 제세동기란
전류의 전달시간이 짧은 직류를 심장에 전달시켜 일시적으로 심근을 탈분극시켜 심실세동이나 다른 종류의 부정맥을 멈추게 하고 정상적인 심박수와 리듬을 되찾게 하기 위한 기계. DC기라고도 함. 심실세동(V-fib), 심방세동(A-fib), 심실빈맥(VT), 심방조동(A-flutter)등의 부정맥을 보이는 심장에 monophasic 또는 biphasic 의 종류로 고압의 전류를 단시간 동안 주입시켜 정상적인 맥박으로 회복시키기 위해 사용함.
- monophasic: 전류를 일정한 방향으로 한번만 주는 형태, biphasic 보다 더 강한 전류를 적용 할수 있으며 최대 360 J 까지 줄수 있음. 단 심근 및 근육손상 발생가능성 있음
- biphasic: 전류를 한 방향으로 주고 다시 반대방향으로 돌아오게 하는 형태
보통 biphasic 사용(이상파, 파형이 두 개의 극성을 가져서 에너지를 높이지 않고 동일한 에너지로 제세동을 시행해도 성공률이 높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