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미리보기
소개
"A+ 정신간호학 주요우울장애 의사소통 분석지"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치료적 관계형성 및 치료적 의사소통 분석지
환자 상태 요약 : 6개월 전 사고로 아들을 잃고 슬픔과 죄책감에 잠겨 매일 울면서 지낸다. 3개월 전 근처 정신건강의학과에서 주요우울장애를 진단받고 항불안제와 항우울제를 처방받았지만 약을 복용하지 않고 있다가 10일치를 한꺼번에 먹고 자살을 시도하였다. 이후 딸에게 발견되어 응급조치를 받고 정신과 병동으로 입원하였다. 입원 이후에도 병실에서 혼자 울고 있는 모습이 관찰된다.
환자의 언어 · 비언어적 의사소통
간호사의 언어 · 비언어적 의사소통
치료적/비치료적 의사소통
이론적 근거
분석 및 평가
비고
(눈 맞춤) 환자분 안녕하세요. 저는 담당 간호사 이아현입니다. 저와 잠시 이야기를 나누시겠어요?
<눈 접촉>
‘환자를 이해하려고 하며 나는 듣고 있으니 나에게 말해주세요’하는 의미이다.
<단답형의 폐쇄형 질문>
우울 증상이 심한 대상자에게는 개방적 질문보다는 폐쇄형 질문이 더 적절하다.
대상자에게 눈을 맞추며 간호사 자신을 소개함으로 신뢰감을 형성하고 있다.
단답형의 폐쇄형 질문을 통해 방어적인 대상자와의 대화를 할 수 있도록 유도하였다.
(우울하고 슬프며 찡그린 표정) 별로 하고 싶지 않아요...
대상자는 기운이 없어 보이고 무관심한 태도를 보였다.
제가 김슬픔님의 이야기를 듣고 도와드리고 싶어요. 괜찮을까요?
<치료적 관계 형성하기>
우울한 대상자와의 치료적 관계는 매우 중요하다. 조용하고 따뜻하며 수용적인 태도로 대상자를 대하고 감정이입과 관심을 지속적으로 보여주어야 한다.
대상자에게 대화를 건내며 치료적 관계를 형성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